기삼백설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등장하는 ‘기삼백(朞三百)’의 문제에 관한 역대 학자들의 논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기삼백설은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등장하는 ‘기삼백(朞三百)’의 문제에 관한 역대 학자들의 논설이다. 『서경』의 「요전」에는 “기(期=朞)는 366일이니 윤달을 사용해야 사시(四時)를 정하고 해[歲]를 이룰 수 있다.”라는 대목이 있다. ‘기삼백설’이란 이 구절에 관한 주석의 일종으로 역대 학자들이 작성한 논설을 일컫는다.

목차
정의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등장하는 ‘기삼백(朞三百)’의 문제에 관한 역대 학자들의 논설.
내용

전통 사회의 과학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가 천문 역법(天文曆法)이다. 천문 관측과 역법의 제작은 사회 경제적 필요에서뿐만 아니라 정치 사상적 측면에서 국가 · 사회를 이끌어가는 통치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유학자들의 천문 역법에 대한 이해는 유교 경전에 대한 학습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는 것이 바로 『서경(書經)』의 「요전(堯典)」에 등장하는 ‘기삼백(朞三百)’에 관한 학습이었다. “기(期=朞)는 366일이니 윤달을 사용해야 사시(四時)를 정하고 해(歲)를 이룰 수 있다.(期三百六旬有六日, 以閏月, 定四時成歲)”라는 경전의 언명에 대한 역대 학자들의 주석은 전근대 천문역산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역법(曆法)과 역리(曆理)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었고, 그 학습은 유학자들에게 필수적 교양으로 중시되었다.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이 어렸을 때 『서전』 ‘기삼백’의 내용을 깨우친 이야기는 유명하다. 서경덕은 그의 나이 14세 때(연산군 8, 1502) 개성의 한 선생으로부터 『서경』을 배웠는데 선생이 ‘기삼백’은 세상에 그것을 깨달은 자가 드물다고 하면서 가르칠 수 없다고 하자 물러나와 15일 동안 숙고하여 깨쳤다고 한다. 이처럼 『서경』 학습 과정에서 기삼백은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따라서 기삼백의 문제를 독학으로 터득하였다는 것은 그 사람의 학문적 영민함을 뜻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되곤 하였다.

기삼백의 학습 과정에서 난관 가운데 하나는 분수 계산법이었다. 1회귀년의 길이는 365 235/940일, 1삭망월의 길이는 29 499/940일, 12삭망월의 길이는 354 348/940일이다. 1달 30일을 기준으로 1년 12달을 계산하면 360이 되는데[30×12=306], 이를 1년의 상수로 삼는다. 1년의 상수와 비교할 때 1회귀년은 5 235/940일이 많고, 12삭망월은 5 592/940일이 적은데, 전자를 기영(氣盈), 후자를 삭허(朔虛)라고 한다. 기영과 삭허를 합한 것이 바로 1년의 윤율(閏率)이 된다. 이와 같은 상수들을 바탕으로 19년 동안 7개의 윤달을 두는 치윤법(置閏法)을 논하고 있는 것이 ‘기삼백’장의 주석 내용이었다.

조선 시대의 수많은 학자들이 ‘기삼백’의 문제에 관한 논설을 작성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기삼백에 관한 전면적 해설을 시도한 학자들이 등장하였다. 권구(權榘, 16721749), 현상벽(玄尙璧, ?1731), 임상덕(林象德, 16831719), 김성탁(金聖鐸, 16841747), 황윤석(黃胤錫, 17291791), 이만운(李萬運, 17361820) 등이 그런 사람들이다. 그 가운데 대표적 논설로는 이익(李瀷, 1681~1763)의 「기삼백주해(朞三百註解)」를 들 수 있다. 그것은 크게 4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가 ‘일세일행지수(一歲日行之數)’의 계산, 둘째가 ‘일세월행지수(一歲月行之數)’의 계산, 셋째가 ‘일세윤율(一歲閏率)’을 구하는 법, 넷째가 장법(章法)의 원리에 대한 것이었다.

이익은 중국과 서양의 산학(算學)에 정통한 것으로 후대에 평가되었으며, 그 대표적 저술 가운데 하나로 「기삼백주해」가 거론되기도 하였다. 이규경(李圭景)은 역대의 기삼백 주석 가운데 수법(數法)에 조리가 있어 어리석은 선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저술로 이익의 「기삼백주해」를 들었다.

참고문헌

원전

『서경집전(書經集傳)』

논문

구만옥, 「기삼백과 선기옥형론」 (『한국유학사상대계』 Ⅻ 과학기술사상 편, 한국국학진흥원, 2009)
집필자
구만옥(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