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경제조사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조선농회 및 농림국이 농민들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이다. 1930년대 농가경제조사는 농촌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구제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수립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의 소작쟁의 대책을 강구하고 산업 개발의 기본 조사에 이용하기 위해 이루어졌던 1920년대의 농가 조사나 1937년 중일 전쟁이 발발한 이후의 ‘농업 생산력 확충’을 위해 실시된 농가경제조사와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는 세계 대공황(大恐慌)과 농업 공황으로 조선의 농가 경제가 파탄에 이르게 된 상황에서 이에 대한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농민들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는 조선 농가경제조사를 1930년대에 실시했다.
1930년대의 농가경제조사로는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조선농회에서 5개 도를 대상으로 조사한 농가경제조사와 1933년에 시작된 농가 갱생 계획의 일환으로 1933년과 1938년 2회에 걸쳐 조사한 농가경제개황조사가 대표적이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농가경제조사가 있었다.
농가경제조사는 농가의 농업 경영에 관한 수지 및 가계 상태를 실지에서 정밀하게 조사하여 세계 대공황과 농업 공황(農業恐慌)으로 말미암은 농촌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구제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대상으로는 중년 부부를 중심으로 형제자매와 아동이 동거하고, 공직이나 뚜렷한 겸업을 하지 않으나 양잠을 부업으로 하며 유학하는 자제가 없는 농가로서 각 계층별로 일반 농가에 비해 약간 우량한 농가를 선정했다.
농가경제조사와 마찬가지로, 1930년대에 농촌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하기 위해 농림국 농촌 진흥과에서 실시한 농가경제개황조사가 있다. 이 조사는 농가 갱생 계획 실시 요강에 따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1933년에 실시된 농가 갱생 5개년 계획 이후 여러 해가 지나면서 농가의 영농 및 생활 상태가 계획의 실행과 기타 농촌의 일반적 경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1933년을 기준으로 농가의 경제 실태를 조사하여 농촌 정책 수립에 참고하고자 했다. 조사 대상 농가는 1933년 갱생 계획 수립 시 가족, 노동 능력, 농업 경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농가들 중에서 선정되었다.
조선에서는 농가 경제에 대한 조사가 ‘합방’을 전후한 시기에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인 농업 이민을 대상으로, 일본인 농업 이민을 추진하기 위해 조사가 시행되었다. 조선인 농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도 이루어졌는데, 농상공부가 조사한 자료는 1910년 2월호부터 1911년 3월호에 걸쳐 조선중앙농회보에 수록되어 있다.
1920년대에는 조선의 소작쟁의 대책을 마련하고 산업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다수의 농가 조사가 이루어졌다. 1930년대의 농가경제조사는 농촌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구제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의 조사와는 구분된다. 1937년 중일전쟁(中日戰爭) 발발 이후에 다양한 농가경제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이 조사들은 ‘농가 경제 안정’보다 전쟁 동원을 위한 ‘농업 생산력 확충’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1930년대 농가경제조사는 세계 대공황과 농업 공황이 조선의 농가 경제에 미친 영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정(農政)의 방향성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