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 ()

경제
문헌
1921년부터 1942년까지, 동아경제시보사가 조선의 은행 회사 조합에 대한 중요 정보를 취합하여 발간한 서적.
이칭
이칭
조선은행회사요록
문헌/연속간행물
창간 연도
1921
종간 연도
1942
폐간 연도
1942
간행자
동양경제시보사
간행주기
2년
총호수
1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은 동아경제시보사가 1921년부터 1942년까지 조선의 은행 회사 조합에 대한 중요 정보를 취합하여 발간한 서적이다. 각 은행 및 회사에 대해 회사의 소재지, 설립 월일, 공칭 자본금, 자본 납입액, 적립금, 영업 목적, 결산기, 누년 배당율, 대차 대조표, 중역명, 연혁, 주식수 및 대주주 기타의 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정의
1921년부터 1942년까지, 동아경제시보사가 조선의 은행 회사 조합에 대한 중요 정보를 취합하여 발간한 서적.
창간 경위

동아경제시보사가 『조선은행회사요록』을 발간하기 이전에도 조선의 중요 회사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여 제공하는 정보지가 있었다. 제국여신소의 경우 1911년부터 『제국은행회사요록』을 발간하였는데, 이 속에는 조선의 주요 은행 회사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조선의 모든 은행과 회사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지는 않았다. 동아경제시보사는 1921년에 조선에 본점이나 지점을 가진 모든 회사에 대한 중요 정보를 수집하여 발간하였다.

구성과 내용

『제국은행회사요록』은 1921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는데, 여기에는 조선에 본점을 가진 은행 회사 650여 사와 일본 및 외국에 본점을 갖고 조선에 지점을 둔 은행 회사 90여사의 중요 정보를 조사하여 수록하였다. 각 은행 및 회사에 대해 회사의 소재지, 설립 월일, 공칭 자본금, 자본 납입액, 적립금, 영업 목적, 결산기, 누년 배당율, 대차 대조표, 중역명, 연혁, 주식수 및 대주주 기타의 사항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회사와 은행은 조선에 본점에 둔 회사를 먼저 수록하고, 그 뒤에 조선에 지점을 둔 회사를 수록하였으며, 1921년 판에는 은행, 금융 신탁, 제조 공업, 농림업, 수산업, 운수 창고, 인쇄업, 철도, 상업, 광업, 전기업, 양조업, 정미업, 기타 등 14업종으로 분류하여 수록하였으며, 이후 보험이 추가되어 15업종으로 분류하였다. 1921년 판에는 자본금 20만원 이상 은행 회사의 중역 명부를 부록으로 포함하고 있는데, 이후 판에서는 수록하고 있지 않다.

변천 및 현황

초판인 1921년 판의 서명은 『조선은행회사요록』이었지만, 1927년판부터는 서명을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으로 바꾸어, 조합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게 되었다. 1921년 판에는 모든 회사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1925년 판부터는 자본금이 1만원 이하인 회사에 대해서는 사명, 자본금, 결산기, 목적, 설립 연월일, 소재지, 대표자, 비고 등에 대한 정보를 한 줄로 소략하게 제공하게 되었으며, 1942년 판에서는 소략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을 자본금이 2만원 이하인 회사로 확대했다.

의의 및 평가

일제강점기에는 회사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집계 통계가 있지만, 집계 통계의 경우, 표에 제시된 집계 정보 이상의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조선은행회사조합요록』은 은행 및 회사에 대한 마이크로 데이터이다. 이 시기의 회사의 동향을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데, 특히 중역명이나 대주주명을 이용하여 회사의 민족별 구분을 할 수 있어서, 1921년 이후 민족별 회사의 동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朝鮮銀行會社要錄』 (동양경제시보사, 1921~1925)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 (동양경제시보사, 1927~1942)

논문

박이택, 「식민지 조선의 기업지배구조-한국인 회사와 일본인 회사의 비교」 (『경제사학』 49, 경제사학회, 2010)

인터넷 자료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과 한국근대경제사연구(https://db.history.go.kr)
집필자
박이택(고려대 연구교수, 한국경제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