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담양고속도로 ()

교통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담양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지명/시설
건립 시기
2007년 12월 13일
길이
42.5㎞
소재지
전북 고창군∽전남 담양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창담양고속도로는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담양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왕복 4차로, 총 42.5km의 도로이다. 2002년 12월 착공해 2007년 12월 완공됐다. 2006년 12월 7일에는 장성 분기점에서 대덕 분기점까지 25.4km가 개통되었고, 2007년 12월 13일에 고창 분기점에서 장성 분기점까지 나머지 17.1km가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전히 개통됐다. 공사 기간은 5년, 비용은 3542억 원이며, 휴게소는 없고 졸음 쉼터 1곳이 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담양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건립 경위

고속국도 제253호선이다. 전북 고창군 고수면에서부터 전남 담양군 대덕면까지 이르는 고속국도이며, 총 길이 42.5km의 왕복 4차선 도로이다. 2002년 12월에 착공되었고, 2007년 12월에 완공되었다. 2006년 12월 7일에는 장성 분기점에서 대덕 분기점으로 이어지는 구간 25.4km가 먼저 개통되었으며, 이어서 2007년 12월 13일에는 고창 분기점에서 장성 분기점까지의 17.1km가 추가로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전히 개통되었다. 공사 기간은 총 5년이며, 총 공사비는 3542억 원이다. 휴게소는 없으며, 졸음 쉼터 1개소가 있다.

형성 및 변천

1997년 8월 27일,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에서 담양군 대덕면까지의 구간이 고속국도 제3-2호선인 ‘광주외곽고속도로’로 주1. 이후 2001년 8월 25일에는 고속국도 노선 번호가 제3-2호에서 제14호로 변경되고, 노선 이름은 ‘고창담양고속도로’로 주2.

2006년 12월 7일에는 장성 분기점에서 대덕 분기점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어서 2007년 12월 13일에는 고창 분기점에서 장성 분기점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전히 개통되었다. 추가로, 2008년 1월 3일에는 고속국도 노선 번호가 제14호에서 제253호로 주3.

현황

이 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를 직접 연결하여 서해안 지역에서 호남 내륙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동시에 호남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분산하여 지역 정체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도로의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14분 단축되었고, 연간 713억 원의 물류비가 절감되었다. 호남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호남 내륙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물류 수송 전용 인터체인지의 건설을 통해 물류 지원 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호남 내륙 지역의 관광 자원 개발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호남고속도로 광주 구간의 정체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하고 사람들이 서해안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광주시 우회도로의 연결로 간선 도로망 체계가 구축되어,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광주권과 전남 동부권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광주대구고속도로와도 연결되므로 대구, 포항 등 영남 동부 지역까지 가는 시간 역시 단축되어 지역들 간의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게 되었다.

주행 속도는 최고 100㎞/h, 최저 50㎞/h로 제한되어 있다. 전체 구간은 나들목 3개소, 분기점 4개소, 터널 7개소, 졸음 쉼터 1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2021년 한 해 동안 도로 이용 차량의 현황은 소형차 21,847천 대, 중형차 649천 대, 대형차 3,467천 대로 총 25,963천 대이다. 2021년 1일 평균 교통량은 승용차 13,291대, 버스 285대, 화물차 6,019대로 총 19,595대에 달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조서 2022』 (국토교통부, 2022)
『2022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 (국토교통부, 2023)

논문

김경중, 정제평, 「고창~담양 고속도로 건설공사」 (『콘크리트학회지』 18-3,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

인터넷 자료

디지털고창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gochang/toc/GC02800323)
한국도로공사(https://www.ex.co.kr/)
주석
주1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7년 8월 27일 일부 개정.

주2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 개정.

주3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8년 1월 3일 일부 개정.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