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영덕고속도로 ()

교통
지명
충청남도 당진시를 기점으로, 경상북도 영덕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지명/시설
길이
278.6km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당진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당진시를 기점으로, 경상북도 영덕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고속 국도 제30호선으로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을 기점으로 하고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종점으로 하는 총연장 278.6km의 고속도로이다. 충청북도 청원군과 경상북도 상주시를 연결하는 구간이 2001년 9월에 착공하여 2007년 11월 28일에 청원상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2009년 5월 28일에 충청남도 당진군과 대전광역시를 1시간 안에 연결하는 당진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었으며, 이 둘을 합쳐 당진상주고속도로라고 부른다.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를 기점으로, 경상북도 영덕군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건립 경위

당진영덕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30호선으로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을 기점으로 하고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종점으로 하는 총길이 278.6km의 고속도로이다.

충청북도 청원군과 경상북도 상주시를 연결하는 구간이 2001년 9월에 착공하여 2007년 11월 28일에 청원상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고, 2009년 5월 28일에 충청남도 당진군과 대전광역시를 1시간 안에 연결하는 주1가 개통되었으며, 이 둘을 합쳐 당진상주고속도로라고 부른다. 이후 상주에서 영덕 구간 도로가 2009년 12월 18일에 착공되어 약 2조 7천억 원을 투자하여 2016년 12월 26일에 개통되었다.

대전광역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에 이르는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지선(고속 국도 주2경부고속도로(고속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된다.

형성 및 변천

전 구간 주3로 당진 분기점회덕 분기점과 청주 분기점영덕 나들목까지는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고 회덕 분기점~청주 분기점까지는 왕복 8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휴게소는 19개소, 터널은 57개, 165개의 주4이 있으며, 산지가 많은 영덕군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고속도로에 교량과 터널이 많다. 영덕군 구간에 가설된 교량은 총 41개가 존재하며,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에 26개로 가장 많이 가설되어 있다.

당진 분기점유성 분기점, 청주 분기점낙동 분기점까지는 최고 속도 110km/h, 최저 속도 50km/h로 설정되어 있으며, 호남고속도로지선 중첩 구간 및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낙동 분기점~영덕 나들목까지는 최고 속도 100km/h, 최저 속도 50km/h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산악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겨울철 결빙이 예상되는 장소에 자동 염수 분사 시설을 설치하고, 안개가 잦은 지역에 자동 안개 대응 시스템, 비탈면 경보시스템 등 방재 주5을 설치하였으며, 풍수해에 대비한 토석류 방지 시설을 갖추어 안전한 고속도로로 건설하였다.

현황

상주~영덕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경상북도 내륙지방과 경상북도 동해안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2022년 기준 당진JCT에서 영덕IC까지의 일일 평균 교통량은 약 12만 9,000대이다. 또한, 수도권(首都圈)과 충청권 서해안 주6에서 안동 하회마을, 안동 도산서원, 주왕산 국립공원, 영덕 해맞이 주7 등 볼거리가 많은 경북 내륙 지역과 동해안 주8의 관광 산업이 발전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당진에서 대전광역시까지는 고속도로로 인해 주행거리는 25.4km 줄어들고, 연간 1,524억 원의 물류 비용을 절감 및 연간 7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임으로써 환경 개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로 인해 충남과 대전 전 지역이 1시간 생활권으로 좁혀지고 내륙에서 서해안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2022년 2월에는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충청남도 서산시(瑞山市) 대산읍으로 변경하여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명칭이 당진영덕선(총길이 305.5km)에서 서산영덕선(총길이 330.8km)으로 변경되었다.이와 더불어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서산시 대산교차로~당진JC 구간 연장이 추진 중에 있으며, 충청남도는 대산항 물자 이동량을 원활하게 처리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 (국토교통부, 2021)

인터넷 자료

교통량 정보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
디지털영덕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yeongdeok/toc/GC08500255?search=A2/3)
디지털예산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yesan/toc/GC06601535)
디지털청송문화대전(http://cheongsong.grandculture.net/cheongsong/toc/GC06800219)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https://www.ex.co.kr/)

기타 자료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산까지 연결...타당성 재조사 통과’, 『YTN 뉴스』 (2022.11.28.)
「도로 노선의 변경 고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65호, 2022.02.14.)
주석
주1

충청남도 당진시와 대전광역시 사이를 잇는 고속 도로. 2009년 5월에 개통되었다. 길이는 91.6km. 우리말샘

주2

대전광역시 대덕구에서 충청남도 논산시 사이를 잇는 고속 도로. 2001년에 고속 도로 노선 번호 체계를 구축하면서 호남 고속 도로에서 분리되어 노선 번호 251호로 별도 지정되었다. 길이는 53.3km. 우리말샘

주3

길바닥에 돌과 모래 따위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나 아스팔트 따위로 덮어 단단하게 다져 사람이나 자동차가 다닐 수 있도록 꾸민 비교적 넓은 길. 우리말샘

주4

시내나 강을 사람이나 차량이 건널 수 있게 만든 다리. 우리말샘

주5

여러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설립한 시설. 하천, 유수지, 저수지, 방화 설비, 방풍 설비, 방수 설비, 사방 설비, 방조 설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전라남도 해남반도를 기준으로 남해안과 지리적으로 구분되는, 우리나라의 서쪽 해안 지역. 해안선의 출입이 심하여 반도, 만, 곶, 섬이 많고, 여러 하천이 흘러와 많은 토사가 퇴적되면서 점토질의 간석지가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7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에 있는 공원. 해안형 자연공원으로, 1998년에 착공하여 2002년에 개원하였다. 대형 산불로 황폐화된 해송림 지역에 야생화와 향토 수종을 식재하여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전망대가 있어 바다를 조망할 수 있으며, 공원 산책로의 침목 계단은 산불 피해목이 쓰였다. 우리말샘

주8

우리나라 동해안의 남북 방향으로 단조로운 해안선이 있는 지역. 태백산맥에 가까운 곳은 침식 지형이 발달하였고, 소규모 만과 반도를 따라 나타나는 퇴적 해안은 사빈이 발달하여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우리말샘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