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당시(東堂試)
과거의 본시험에 대한 별칭. # 내용
고려 초기에는 개경의 토공(土貢), 각 주·현의 향공(鄕貢 : 界首官試 합격자), 외국인인 빈공(賓貢)을 모아 국자감에서 다시 시험을 실시하여, 여기에서 합격한 사람에게 과거의 응시자격을 주었다.
그리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과거의 본시험을 동당감시 또는 동당시라 하였는데, 동당이라 함은 궁중 안의 친시처(親試處)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뒤 1031년(덕종 즉위년)부터 국자감시·감시·성균시 또는 남성시(南省試)라 하여 위의 3공출신 이외에도 국자감생도로서 3년 이상 수학자, 벼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