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문헌비고 상위고 ( )

과학기술
문헌
1769년(영조 45), 영조의 명으로 편찬된 조선 역대의 국가 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에 수록된 천문학 분야 천문학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69년(영조 45)
간행 시기
1770년(영조 46)
저자
서호수(徐浩修)
편자
서호수(徐浩修)
편저자
서호수(徐浩修)
권책수
5권 3책
권수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판본
금속활자(芸閣印書體字)
표제
문헌비고(文獻備考)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국문헌비고 상위고』는 1769년(영조 45), 영조의 명으로 편찬된 조선 역대의 국가 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에 수록된 천문학 분야 천문학서이다. 이 천문학서는 조선 역대의 천문학 제도를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은 고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천문학 관련 사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한국 최초의 천문학사 서술이다. 전근대 한국의 천문학 제도와 프로젝트들은 물론이고, 특히 조선후기 ‘시헌력’으로 일컬어지는 서양식 천문학 이론과 계산법이 어떻게 조선의 역법에 담겨있었는지 그 생생한 실상을 이 책을 통해서 잘 살펴볼 수 있다.

정의
1769년(영조 45), 영조의 명으로 편찬된 조선 역대의 국가 제도를 정리한 『동국문헌비고』에 수록된 천문학 분야 천문학서.
저자 및 편자

영조의 명으로 영조정조대 전문적인 천문학 지식을 겸비한 학자로 알려진 서호수(徐浩修, 1736년1799년)가 저술하였다.

서지사항

상위고(象緯考)는 100권 40책으로 구성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 수록된 13개의 고(考) 중에서 가장 앞머리를 차지한다. 5권 3책의 분량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1769년(영조 45) 12월 24일 영조의 명이 내려지고, 다음 해 정월 편집청(編輯廳)이 설치되었으며, 편찬 사업이 진행된 지 불과 만 다섯 달도 안 되어 1770년(영조 46) 윤5월 16일 편집낭청(編輯郞廳) 서호수에 의해 편찬 · 간행되었다.

『동국문헌비고』 편찬 사업이 급하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분야별 내용들이 부실하였으며, 그로 인해 훗날 이만운(李萬運)의 『증정문헌비고(增訂文獻備考)』에서 대폭 보강되었다고 학계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서호수의 「상위고」는 상대적으로 내용이 충실해서, 이후 거의 보완된 것이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다.

구성과 내용

‘역상연혁(曆象沿革)’ 등 25개 주제로 나뉘어, 고대부터 18세기 후반 영조대에 이르기까지 천문학사(역상연혁), 천문학 이론(천지(天地), 칠정(七政), 항성(恒星)), 천문 데이터와 상수들에 대한 설명(항성황적경위표(恒星黃赤經緯表) 등), 천문 기구(의상(儀象)), 그리고 분야설(分野說)과 천변재이(天變災異) 기록(분야(分野), 일식(日食) 등)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

의의 및 평가

‘역상연혁’ 서술은 근대 천문학사 서술 이전에 이루어진 한국 최초의 천문학사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17세기 중반 이후 조선의 역법(曆法)인 ‘ 시헌력(時憲曆)’이라는 새로운 역법은 구면천문학(球面天文學)적 계산법을 담은 서양식 수학과 지구설(地球說)로 대표되는 서양식 천문학 이론을 수용하여 활용된 역법이었는데, 그 천문학 이론과 데이터, 그리고 관측 기구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생생한 내용을 담고 있는 귀중한 사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원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규장각 소장)

논문

문중양, 「『동국·증정·증보문헌비고』 「상위고」의 편찬과 영·정조대의 천문학」 (『진단학보』 106, 진단학회, 2008)

인터넷 자료

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 국역 증보문헌비고(https://www.krpia.co.kr/product/main?plctId=PLCT00004498&is_simple_outAuth=N&currentLocale=ko)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중양(서울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