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세계설(다우주설)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조선 후기, 홍대용이 인간의 세계와 같은 다른 세계가 우주에 수없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의산문답』에서 주장한 우주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다세계설은 조선 후기 홍대용이 인간의 세계와 같은 다른 세계가 우주에 수없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의산문답』에서 주장한 우주론이다. 홍대용에 의하면 우주는 무한하기 때문에 우리 인간이 살고 있는 세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이 세계 밖에 또 다른 세계가 얼마나 존재할지 모른다고 주장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홍대용이 인간의 세계와 같은 다른 세계가 우주에 수없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의산문답』에서 주장한 우주론.
내용

조선 후기의 실학자 홍대용(洪大容)『의산문답(醫山問答)』에서 우주는 무한하며, 우리 인간이 사는 지구는 무한한 우주에서 보면 중심이 아니라는 상대적 우주관을 펼쳤다. 즉 지구는 태양계의 중심일 뿐 태양계 바깥의 뭇 별들의 관점에서 보면 지구가 중심이 아니며, 각각의 별이 중심이라는 것이다. 나아가 무한한 우주에는 우리 인간이 사는 세계와 같은 또 다른 세계가 무수히 많을 것이라고 상상하였다.

인간이 사는 현재의 세계 이외에 또 다른 세계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중국 송대(宋代)의 유학자 소옹(邵雍)에 의하면 우주는 12만 9,600년을 주기로 생성하고 소멸한다. 그런데 현재 세계가 과연 소멸할 것인가, 또는 소멸 이후에 다시 생성될 것인가는 당대인들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그러나 소옹은 그 가능성을 부정하였다.

또한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朱熹)도 제자들의 질문에 그럴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변했었다. 그런데 소옹과 주희의 성리학적 우주론을 수용하였던 조선의 유학자들 중에는 소옹과 주희의 주장에 불만을 제기하는 이가 있었다. 16세기의 서경덕(徐敬德)과 17세기 초의 장현광(張顯光)은 현재의 세계가 소멸하고 또 다른 세계가 생겨날 것이라는 가능성을 부정하였던 중국 송대의 성리학자 소옹과 주희의 주장을 비판하며, 공간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또 다른 천지(天地)의 존재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18세기 초의 최석정(崔錫鼎) 역시 무한한 우주에 허다한 세계가 존재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였다.

홍대용의 다세계설(多世界說)은 이와 같은 조선 유학자들의 또 다른 천지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색을 계승 및 발전시킨 것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담헌서(湛軒書)』 내집보유(內集補遺) 권4, 의산문답(毉山問答)

단행본

김문용, 『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 (예문서원, 2005)
문중양, 『의산문답: 천지와 인물에 대한 일탈적 우화』 (아카넷, 2019)

논문

문중양, 「16-17세기 조선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 서경덕과 장현광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34, 한국역사연구회, 1999)
문중양,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 그 연속과 단절의 역사: 기론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6-4,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임종태, 「무한우주의 우화: 홍대용의 과학과 문명론」 (『역사비평』 71, 역사비평사, 2005)
집필자
문중양(서울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