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이겸 ()

삼암유고 / 입덕문가
삼암유고 / 입덕문가
유교
인물
조선 중기에, 「입덕문가」, 『삼암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덕후(德厚)
삼암(三巖), 의재(毅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3년(명종 8)
사망 연도
1613년(광해군 5)
본관
밀양(密陽)
출생지
충청북도 옥천군
정의
조선 중기에, 「입덕문가」, 『삼암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덕후(德厚), 호는 의재(毅齋)·삼암(三巖). 옥천(沃川)에서 태어나 주계(朱溪 : 전라북도 무주)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 박충현(朴忠賢)이며, 어머니는 의흥박씨(義興朴氏) 화순현감(和順縣監) 박준(朴埈)의 딸이다. 삼종숙(三從叔)인 박사종(朴嗣宗)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박이겸이 20세 되던 해에 영남을 주류하며 당시의 거유들을 찾아뵈면서, 조식(曹植)에게서는 출처(出處)의 의리를, 정구(鄭逑)에게서는 성리설(性理說)과 예악형정설(禮樂刑政說) 등을 듣고서는 집에 돌아와 삼암(三巖)에 정자를 짓고 후생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외가를 따라 성주(星州)로 이사하여 살기도 하면서 무주(武朱)와 성주에서 각기 향천(鄕薦)을 입었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못하였고, 그의 나이 33세 때 암행어사 목장흠(睦長欽)의 천거로 정릉참봉(貞陵參奉)이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중용』과 『대학』에 특히 조예가 깊었으며, 그에서 얻어진 공부를 한글로 「입덕문가(入德門歌)」라는 가사(歌詞)로 옮겨 누구나 쉽게 학문을 터득하도록 읽혔으며, 또 세속이 술을 너무 쉽게 마시는 것을 금지하려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베풀어 이의 폐단을 바로 잡으려 하였다.

이조참판(吏曹參判)이 증직되었고, 무주의 압계서원(鴨溪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삼암유고(三巖遺稿)』 2권이 있다.

참고문헌

『삼암유고(三巖遺稿)』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