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사직참봉을 역임한 학자.
이칭
공근(公瑾)
만학당(晩學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0년(광해군 2)
사망 연도
1686년(숙종 12)
본관
성산(星山: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
출생지
한성
주요 관직
사직참봉
정의
조선 후기에, 사직참봉을 역임한 학자.
개설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공근(公瑾), 호는 만학당(晩學堂). 한성 출신. 공조참판 배흥립(裵興立)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현감 배명전(裵命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8세에 고종형 배유념(裵柳淰)에게 수업을 시작으로 학문의 길을 걸어 외부로 향하는 마음을 끊고 오로지 학문탐구에 전념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충분(忠憤)을 이기지 못하여 스스로 숭정처사(崇禎處士)라 부르며 세상에 뜻을 두지 않고 바깥일을 사절한 채 학문탐구에 더욱 정진하였는데, 책을 읽을 때면 침식조차 잊었다. 1672년(현종 13) 재주와 덕망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677년(숙종 3) 사직참봉(社稷參奉)을 제수받고 잠시 나가 있다가 곧 사직하고 돌아왔다. 1678년 상소로써 심학성리(心學性理)의 요체와 당론을 억제하고 현재(賢才)를 가려쓰는 데 대한 설을 개진하였으며, 또 동년배 유형원(柳馨遠)의 저서인 『반계수록(磻溪隨錄)』에 보인 전제(田制)·병제(兵制)·학제(學制) 등의 7조를 시행하자고 건의하여 숙종이 이를 가상하게 여겼다.

서울에서 전원으로 돌아온 뒤 만력동(萬曆洞)에 집을 짓고 만학당(晩學堂)이라 편액을 단 뒤 『대학(大學)』·『근사록(近思錄)』의 취지와 요지 및 각 경전의 난해하고 의심스러운 것 들을 손수 베껴가며, 심성정이기(心性情理氣)의 설을 깊이 연구하였다. 언제인가 유형원과의 왕복 논란에서 질문이 하도 조리있고 치밀하여 유형원도 그 학식과 도덕을 높이 칭송하였다 한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화당유집(花堂遺集)』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능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