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각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선덕왕 대에 병든 노모에게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한 효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성각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선덕왕 대에 병든 노모에게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한 효자이다. 명예와 벼슬을 멀리하며 스스로를 거사라고 칭하였다고 한다. 평민 신분이기보다는 형식상 관직 진출은 할 수 있었던 하급 두품 신분의 인물로 추정된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선덕왕 대에 병든 노모에게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한 효자.
인적 사항

사료에 성씨와 가족에 관한 사항은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세상의 명예와 벼슬을 좋아하지 않아 스스로 거사라 칭하였다(不樂世間名官 自號爲居士)."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거사는 재가불자(在家佛者) 또는 벼슬을 하지 않는 선비를 뜻하므로, 기본적으로 문자 이해 능력을 가진 신분의 인물로 여겨진다. 평민 신분이기보다는 형식상 관직 진출은 할 수 있었던 하급 두품 신분의 인물로 추정된다.

주요 활동

중대 말 하대 초 청주(菁州: 지금의 경상남도 서부 지역) 일리현(一利縣: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에서 활동하였다. 법정사(法定寺)에 의지(依止)하였다는 것으로 볼 때 불교와 관련된 활동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의지라는 용어가 본래 불교에서 득도(得度) 이후 선배 승려의 지도를 받으며 참선, 수행하는 과정을 지칭하기 때문이다. 원효가 스스로 소성 거사라 하였던 사실을 참고한다면, 성각이 불교와 관련된 활동을 한 인물로 보아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성각은 현세에서 효행을 다하고, 부모가 죽은 후에는 불교에 의탁하여 복을 누리게 하려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성각은 신라 중대 말에서 하대 초, 정확히는 선덕왕 대에 활동한 것으로 여겨진다. 성각의 효행을 왕에게 아뢴 사람들이 각간 김경신(金敬信)과 이찬 주원이었다고 하였는데, 혜공왕이 시해될 당시 경신은 이찬(제2관등)이었으므로 각간(角干, 이벌찬의 별칭, 제1관등)이 된 것은 그 이후이기 때문이다. 또한, 경신이 선덕왕 사후 즉위하여 원성왕이 되었기에, 효행이 있었던 시기는 혜공왕 사후부터 원성왕 즉위 전이 된다.

상훈과 추모

신라 중앙정부는 경덕왕웅천주 향덕의 고사에 따라 효행을 현창하기 위해 성각이 살던 고을과 가까운 현(縣)에 조(組) 3백 석을 상으로 주었다. 향덕에게는 집, 쌀〔組〕, 구분전(口分田)을 주었다고 하였으므로, 성각이 향덕의 선례에 따라 포상을 받았다면 그 역시 집과 토지를 하사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8세기 동아시아가 기근과 질병의 시대였음을 보여주며, 국가에서 민심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1: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탐구당, 2013)
김두진, 『의상 그의 생애와 화엄사상』(민음사, 1995)

논문

김수태, 「『삼국유사』 ‘향득 사지’조로 본 신라인의 효행」(『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0,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9)
이현숙, 「신라의학사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김두진, 「신라 의상계 화엄종의 '효선쌍미' 신앙」(『한국학논총』 15,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