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개념
나말려초 시기 신라의 지방관 또는 호족.
이칭
이칭
지방관, 호족
내용 요약

성주는 나말려초 시기 신라의 지방관 또는 호족을 지칭하는 말이다. 삼국통일 이후 신라의 지방제도는 9주 체제로 정비되고, 주-군-현-촌에 도독-태수-현령 또는 소수-촌주가 임명되어 지방통치가 이루어졌다. 이후 신라 말에 지방 통치력이 이완되면서 주(州)와 부(府)로 개편되어 지주제군사(知州諸軍事)와 성주(城主) 중심 체제로 전환되었는데, 이 무렵 지방에서 성장한 반독립적 세력도 성주를 자칭하면서 지방관과 호족을 포괄하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목차
정의
나말려초 시기 신라의 지방관 또는 호족.
내용

성주는 나말려초(羅末麗初) 시기 지방 통치를 담당하던 신라의 지방관과 더불어 지방에서 성장한 반독립 세력인 호족(豪族)을 포괄하는 중의적 표현이다. 삼국통일 이후 신라는 지방제도를 9주 체제로 정비하면서, 주-군-현-촌에 도독- 태수- 현령/ 소수- 촌주를 임명하여 지방통치를 전개하였다.

하지만 신라 말에 들어 왕위 계승 분쟁이 지속되고 지방 통제가 이완되면서 9주 체제의 도독제가 주(州)와 부(府)로 개편되어 지주제군사와 성주 중심 체제로 전환되었다. 그런데 이 무렵 지방에서 성장한 반독립적 세력이 성주를 자칭하면서 지방관과 호족을 포괄하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그러한 변동은 헌덕왕 11년(819) 3월조 "도둑떼들이 여기저기 봉기하니, 왕이 모든 주와 군의 도독 및 태수에게 명하여 그들을 잡아 오게 하였다."는 기록이, 효공왕 9년(905) 8월조 "왕이 강역이 날마다 줄어든다는 말을 듣고 매우 걱정하였으나 방어할 능력이 없으므로, 모든 성주들에게 나가서 싸우지 말고 성벽을 굳게 지키도록 명령하였다."로 변한 모습에서 확인된다.

모든 도독과 태수가 모든 성주로 대체되어 성주가 지방관을 지칭하는 표현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대략 진성여왕 대를 전후로 한 시기에 그러한 변화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문기,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학연문화사, 2015)
신호철, 『후삼국시대 호족연구』(개신, 2002)
정청주, 『신라말 고려초 호족연구』(일조각, 1996)
전기웅, 『나말려초의 정치사회와 문인지식층』(혜안, 1996)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연구』(일조각, 1974)

논문

구산우, 「고려말 성곽 축조와 향촌사회의 동향」(『역사와 경계』 75, 부산경남사학회, 2010)
하일식, 「해인사전권과 묘길상탑기」(『역사와 현실』 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浜中昇, 「신라말기 · 고려초기의 성주 · 장군에 대해서」(『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상, 벽사이우성교수 정년퇴직기념논총간행위원회, 창작과비평사, 1990)
이순근, 「羅末麗初 '豪族' 용어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성심여자대학논문집』 19, 1987)
윤희면, 「신라하대의 성주 · 장군」(『한국사연구』 39, 1982)
집필자
한준수(국민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