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 낙수리 유적 ( )

고대사
유적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마한의 저장구덩이 · 화덕자리 · 기둥구멍 관련 주거지가 밀집해 있는 생활유적.
이칭
이칭
순천낙수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관련 국가
마한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
내용 요약

승주낙수리유적은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마한의 저장구덩이 · 화덕자리 · 기둥구멍 관련 주거지가 밀집해 있는 생활유적이다. 전라남도 동부 지역 마한의 문화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마을 유적이다. 모두 네모반듯한 모양의 주거지인 점, 내부에 4개의 기둥구멍이 배치된 주거지가 있는 점 등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으로 마한 문화가 확산되었음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연대는 주거지 내에서 출토되는 토기와 4개의 기둥구멍이 배치된 점 등으로 보아 3∼4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옛 승주군) 송광면 낙수리에 있는 원삼국시대 마한의 저장구덩이 · 화덕자리 · 기둥구멍 관련 주거지가 밀집해 있는 생활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1985년 주암댐 수몰 지구 지표 조사를 통해 유적이 처음 확인되었다. 낙수리는 북서에서 남동으로 뻗은 낮은 언덕의 남쪽 비탈면에 자리하는데, 유적은 마을의 동쪽 끝에 ㄱ자 모양으로 돌출한 언덕진 곳에 있다.

이 언덕의 주변에는 보성강이 U자형으로 곡류하면서 생긴 비교적 넓은 충적 대지가 발달하였다. 서울대학교 발굴 조사단이 1986년과 1987년 2회에 걸쳐 이 유적을 조사하여 모두 15기에 이르는 마한 주거지를 확인하였다.

형태와 특징

승주낙수리유적(昇州洛水里遺蹟) 주거지들은 풍화 암반층을 파서 조성하였다. 주거지는 평면 형태가 모두 네모반듯한 모양이며, 세부적으로는 네 모서리의 각을 줄인 모양과 직사각형 등이 확인되었다.

장축 방향은 대체로 남북 또는 북동 · 남서이며, 규모는 저장 시설로 판단되는 7호 · 9-1호 · 12호를 제외하면 대체로 4~5×3~4m 정도이다. 주거지 바닥은 대개 단단한 생흙으로 다짐을 하였으며, 일부 점토 보강의 흔적도 보인다.

주거지 내부 시설로는 주1주2, 저장 구덩이, 벽 도랑, 단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기둥구멍은 주거지 내부에 4개의 기둥이 배치된 형태와 구덩이 벽 가까이에 기둥구멍을 두른 형태로 구분된다. 기둥구멍은 움 내부에 없는 것, 움 내부에만 배치된 것, 움 벽에 따라 배치된 것, 움 안쪽과 주변에 모두 배치된 것 등이 있다. 이들 중 벽 내면에 두르는 것이 주종을 이룬다.

화덕자리는 2호 주거지에서 8자형의 점토로 된 형태와 목탄이 다량으로 확인되었고, 이외의 주거지에서는 정연한 시설은 확인되지 않으며 대체로 바닥의 일부에 불을 피웠던 흔적이 확인되는 정도이다.

저장 구덩이는 옥외 저장 구덩이와 옥내 저장 구덩이로 구분된다. 옥외 저장 구덩이는 주거지에 바짝 붙여 부속 시설처럼 배치된 것과 주거지에서 약간 떨어져 단독 건물로 설치된 것이 확인된다. 옥내 저장 구덩이는 주거지의 한 쪽 벽을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파고 들어가 바닥면을 수평으로 확대한 것과 바닥을 수직으로 파고 들어간 경우가 확인된다.

2기의 집터에서 확인되었는데, 특히 4호 집터의 경우에는 움의 벽을 따라 너비 10∼15㎝, 깊이 5∼10㎝의 도랑이 돌아가며, 또한 남벽 중앙에서 북서쪽 모서리를 향해서 집터 바닥을 분할하는 도랑이 돌아간다.

이러한 도랑시설은 우리나라보다는 일본에서 발견된 예가 많은데,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에 대해서는 배수구 또는 움 내부의 기능적인 분할, 특수 용도의 시설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도랑 시설은 가까이에 있는 승주대곡리유적 주거지에서도 볼 수 있다.

단 시설은 4호와 9호 주거지 한 쪽 벽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9호 주거지에는 바닥에서 20㎝ 정도 높이로 너비 40~50㎝의 단이 설치되었는데, 이곳에서 다량의 목탄과 토기가 출토되어 단 시설은 선반 또는 작업대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승주낙수리유적 주거지는 3개의 군으로 묶을 수 있는데, 각 군집마다 비교적 큰 주거지(8 · 9 · 13호)가 1기씩 있고 주변에 저장 구덩이도 있어, 주거 군집별 생활양식을 보여 주고 있다.

유물은 주거지 내에서 주로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토기는 회색 또는 주3로, 주4, 장란형토기, 둥근바닥짧은목항아리와 큰항아리, 큰독 등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청동기시대 삼각형돌칼과 돌살촉, 숫돌 등의 석기류가 출토되었다. 유적의 연대는 주거지 내에서 출토되는 토기와 4개의 기둥구멍이 배치된 4주식 주거지 등으로 보아 3세기∼4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의의 및 평가

승주낙수리유적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 세부적으로는 보성강 유역권의 원삼국시대 마한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는 생활유적이다. 가까이에 있는 승주대곡리유적과 함께 마한의 전라남도 동부 지방의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동시기 전라남도 동부 지역은 서부 지역과는 달리 동그란 형테의 집터가 더 우세한 양상이지만, 이곳은 모두 네모반듯한 집터의 모양을 갖춘 점, 내부에 4개의 기둥구멍이 배치된 집터가 있다는 점 등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으로 마한 문화가 확산되었음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연대는 주거지 내에서 출토되는 토기와 4개의 기둥구멍이 배치된 점 등으로 보아 3∼4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논문

박미라, 「전남 동부지역 1~5세기 주거지의 변천양상」(『湖南考古學報』 30, 湖南考古學會, 2008)
이동희, 「全南東部地域 馬韓~百濟系 住居址의 變遷과 그 意味」(『先史와 古代』 27, 韓國古代學會, 2007)
崔夢龍 외, 「洛水里 낙수 住居址」(『住岩댐 水沒地域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Ⅵ』, 全南大學校博物館, 1989)
주석
주1

움집터의 바닥 같은 데에 기둥을 세우기 위하여 파 놓은 구멍.    우리말샘

주2

선사 시대의 집터에서 난방과 음식 마련을 위하여 불을 피우던 자리. 가장자리의 바닥에 흙 또는 돌을 두르거나 깔았다.    우리말샘

주3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산화염으로 구워져 붉은 색깔을 띠고 있는 토기. 원시 시대와 삼국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4

그릇 몸통의 지름보다 속이 깊은 바리.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