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중 마애여래삼존상 정면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중 마애여래삼존상 정면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애불.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및 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영주시 가흥1동 264-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애불.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커다란 삼각형의 화강암 벽을 쪼아서 가운데 넓은 면에는 좌상의 본존을 조각하고 좌우로 입상의 협시보살을 새겨 넣었다. 삼각형의 바위를 적절히 이용하여 안정감 있는 구도를 이루고 있다. 조각 수법은 높은 부조로 거의 원각(圓刻)에 가깝게 처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법은 인접한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1980년 지정)에서도 볼 수 있다.

사각형에 가까운 본존의 얼굴은 팽팽한 뺨, 큼직하고 듬직한 코, 꽉 다문 입 등으로 장중하면서도 활력이 넘친다. 머리카락을 표현하지 않은 소발(素髮)의 머리 위에는 큼직한 육계(肉髻)가 표현되었으며, 두 눈은 모두 손상되었다. 얼굴에 나타나는 이와 같은 활력은 신체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약간 움츠린 듯한 어깨나 양감을 나타내지 않은 체구, 결가부좌한 넓고 긴장된 무릎 등에서도 건장한 힘을 느낄 수 있다.

가슴은 넓고 당당하며,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與願印)의 손 모양은 퍽 자연스럽다. 불상 전체에서 느껴지는 장중한 힘은 양 어깨를 감싼 통견으로 입은 대의에서도 나타난다. 양어깨를 감싸고 있는 통견의 법의는 앞가슴이 U자형으로 터졌고, 양손목을 감싸고 흘러내리는 옷주름 역시 묵직하게 처리되어 한층 더 강한 힘을 느끼게 한다.

광배는 원형 두광(圓形頭光)으로 가운데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을 두르고 두광과의 사이에는 연꽃무늬와 5구의 화불(化佛)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두광 밖에는 넓게 불꽃무늬를 조각하였는데, 가늘면서도 힘있게 조각되어 위로 상승하는 기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탄력 있고 긴장된 선은 복판연화문의 앙련대좌(仰蓮臺座)에서도 나타난다.

본존의 선과 형태에서 나타나고 있는 장중한 모습은 좌우의 협시보살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오른쪽의 보살은 원형 두광을 지니고, 두 손은 가슴 앞에서 합장을 한 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약간 짧아진 듯하면서도 당당한 신체이다. 천의(天衣)는 배 부근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다.

왼쪽보살은 한 손은 어깨까지 들어올리고 다른 한 손은 가슴에 대고 있지만 신체 형태나 선은 오른쪽 보살과 유사하다. 어깨를 감싼 천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 쪽으로 부드러운 U자형의 주름을 이루면서 흘러내리고 있는데, 옷주름 선이 분명하고 묵직하게 처리되어 있다. 이 보살은 오른쪽으로 몸을 약간 비틀고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가흥동 마애삼존불상은 형태와 선에서 장중하고 활력 있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래서 양식적으로는 삼국시대 양식을 따르고 있으면서 8세기 초의 양식으로 발전해 가는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 보물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