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면 봉전마을 앞을 흐르는 남강천의 암반 위에 건립되어 있는 1동의 건물로, 2005년 10월 1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옛 안의(安義) 3동의 하나인 화림동 계곡으로서, 농월정과 용유담, 그리고 거연정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중층 누각 건물로, 내부에는 벽체(뒷벽)를 판재로 구성한 판방을 1칸 두고, 각주로 네 귀퉁이를 받치고 대청과 방 영역을 머름을 두어 구분하고 있다. 방 상부는 간단하게 인방재를 건너고 판재로 막아 천장을 만들었다. 현재 삼면에 낸 문은 모두 없는 상태이며, 사면 모두 기둥의 바깥쪽으로 약 30㎝ 정도를 연장하여 계자난간을 둘렀고, 출입은 배면쪽 자연암반에 2단의 시멘트 계단을 덧붙여 시행하고 있다. 마루에는 장마루가 깔려 있는데, 이것은 원래 우물마루였으나 후에 변형된 것으로 함양군에서 원형복구를 추진 중에 있다.
천연의 암반 위에 조성하였으므로 굴곡이 심한 암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주초를 쓴 기둥도 있고, 쓰지 않은 기둥도 있다. 기둥은 모두 원주이며, 누하주는 직경이 큰 재목을 틀어지거나 울퉁불퉁한 채로 대강 다듬어 사용하였다. 마루 위의 기둥은 하부에 사각형으로 모를 줄인 초석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였다. 기둥에 비해서 대들보와 도리는 부재 치수가 크고 견실하며, 서원의 재목을 쓴 곳은 누상부 부분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면의 추녀 끝 부분에는 활주를 세워 건물의 안정감을 높였고, 기둥 상부에는 익공 형태의 부재 없이 보아지로 처리하였다. 창방과 처마도리 장혀 사이에는 소로를 끼워 장식하였다.
정면 어칸 상부는 창방을 사절하고 처마도리와 장혀 안으로 지지하고 계자난간도 끊어서 출입하는 장소로서의 상징성을 높이고 있다. 가구는 5량 구조로, 대들보 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보를 받도록 하였고, 종보 위에는 종도리 장혀가 바로 올려지도록 구성하였으며, 좌 · 우 측면에서는 충량을 보내 대들보 위에 얹었는데 충량의 머리 부분은 가공 없이 직절(直切)하였다. 단청은 올리지 않았으며 겹처마에 합각지붕형식이다.
봉전마을 앞에 위치하여 주민들과 관광객들의 쉼터로 개방되고 있으며, 현재 정선전씨 거연정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17세기 건축이었으나 이후 화재와 훼철 등으로 예전의 모습은 찾을 길이 없고, 19세기 말에 재건축한 누정이기는 하지만 전통 건축물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선조들의 풍취를 그대로 간직했다는 측면에서 손색이 없다. 자연 바위를 그대로 이용하고 주변 경관으로 물과 소나무를 조화시킨 건축기법이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