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영수사 신중도 ( )

진천 영수사 신중도
진천 영수사 신중도
회화
작품
문화재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이칭
이칭
진천 영수사 신중탱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11년 02월 01일 지정)
소재지
충북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길 60-125 (영구리)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영구리 영수사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구성 및 형식

세로 121.1㎝, 가로 96.5㎝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불보살을 외호하는 신중들의 모임을 그렸다. 2011년 2월 1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화면 상단에는 범천과 제석천을 가운데 두고 성군(星君)과 천동이 천(天)들과 같은 크기로 자리하였다. 범천과 제석천은 동일한 얼굴인데, 범천 이마에는 눈이 하나 더 있다. 천녀들이 없어서 천동들이 번과 보개를 들었고, 가운데 천동은 과일이 담긴 쟁반을 들었다. 양쪽 성군은 홀을 들고 있다.

아래 두 줄은 위태천과 여덟 신중들이 자리하였다. 위태천은 삼지창을 두 팔로 안고 투구를 쓴 전형의 모습이다. 특이한 점은 의자 같기도 하고 광배 같기도 한 배경을 표현한 것이다. 주위 신중들은 대부분 칼을 든 장수인데, 연꽃 부채를 든 선인과 용왕의 모습도 보인다. 위태천과 신중들의 크기 또한 차이가 없다. 이렇듯 신중도의 주존인 범천, 제석천, 위태천의 크기가 다른 성중들과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 영수사 신중도의 특징이다.

붉은색과 녹색이 기본인데, 청색의 사용이 늘어난 것은 19세기 후반 불화의 색 경향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영수사 신중도는 조선시대 신중도 흐름에서 범천과 제석천보다 위태천의 비중이 더 커져가는 상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문화재: 충청북도』(불교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불화』17(성보문화재연구원, 200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탁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