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 121.1㎝, 가로 96.5㎝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불보살을 외호하는 신중들의 모임을 그렸다. 2011년 2월 1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화면 상단에는 범천과 제석천을 가운데 두고 성군(星君)과 천동이 천(天)들과 같은 크기로 자리하였다. 범천과 제석천은 동일한 얼굴인데, 범천 이마에는 눈이 하나 더 있다. 천녀들이 없어서 천동들이 번과 보개를 들었고, 가운데 천동은 과일이 담긴 쟁반을 들었다. 양쪽 성군은 홀을 들고 있다.
아래 두 줄은 위태천과 여덟 신중들이 자리하였다. 위태천은 삼지창을 두 팔로 안고 투구를 쓴 전형의 모습이다. 특이한 점은 의자 같기도 하고 광배 같기도 한 배경을 표현한 것이다. 주위 신중들은 대부분 칼을 든 장수인데, 연꽃 부채를 든 선인과 용왕의 모습도 보인다. 위태천과 신중들의 크기 또한 차이가 없다. 이렇듯 신중도의 주존인 범천, 제석천, 위태천의 크기가 다른 성중들과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 영수사 신중도의 특징이다.
붉은색과 녹색이 기본인데, 청색의 사용이 늘어난 것은 19세기 후반 불화의 색 경향이기도 하다.
영수사 신중도는 조선시대 신중도 흐름에서 범천과 제석천보다 위태천의 비중이 더 커져가는 상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