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호 ()

김은호
김은호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금차봉납도」 · 「춘향상」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이칭
양은(良殷), 이당(以堂), 鶴山殷鎬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2년(고종 29) 6월 24일
사망 연도
1979년 2월 7일
본관
상산(商山)
출생지
인천
정의
일제강점기 「금차봉납도」 · 「춘향상」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892년 인천에서 출생했다. 1908년 인흥(仁興)학교 측량과 단기과정을 졸업, 서울에서 측량기사 조수 외에 영풍서관(永豊書館)에서 고서(古書)를 베끼는 일로 생계를 유지하던 중, 1912년 현채(玄采) 등의 소개로 경성서화미술회에 2기생으로 편입, 1915년 화과(畵科)졸업했고 이어서 1917년에는 서과(書科)를 졸업했다. 이때 송병준(宋秉畯) · 윤덕영(尹德榮) 등의 초상화 및 동학(東學)최제우(崔濟愚), 최시형(崔時亨)의 전신 좌상을 그렸다. 졸업 이후 1918년 결성된 조선서화협회에 참여했고, 1919년 3 · 1운동 당시 『독립신문』을 배포하다 체포되어 5개월을 복역했다.

1920년 창덕궁 대조전의 벽화 「백학도(白鶴圖)」를 제작했고, 1921년 제1회 서화협회전, 1922년 제1회 조선미전에 참여하기 시작하며 감각적인 채색인물, 화조, 산수 등 폭넓은 화제로 동양화단의 지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1924년부터 주1에서 후진을 양성하다가 1925년부터 3년간 도쿄에서 도쿄미술학교 청강생으로 일본화과 교수인 유키 소메이[結城素明]에게 사사받았고, 1927년 제국미술전람회에 입선했다. 1928년에는 순종 어진(御眞)을 그려 창덕궁 선원전에 봉안했고, 1935년에서 1936년까지 세조, 원종 어진을 모사했다.

1936년에는 조선미술원을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했다. 1936년에는 김은호의 제자들이 모여 후소회(後素會)를 조직했고, 정기전을 가지며 해방후 오늘날까지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2020년 현재 창립84년이 되었고, 제49회전이 열렸다.

1937년에는 '국방헌금 조달과 황군 원호'를 위해 귀족 · 관료 부인들이 주축을 이룬 여성단체 애국금차회(愛國金釵會)의 일화를 다룬 「금차봉납도(金釵奉納圖)」를 그렸다. 1941년 '화필보국(畵筆報國) · 회화봉공(繪畵奉公)'을 표방한 조선미술가협회이영일(李英一) 등과 함께 일본화부 평의원으로 참여했다. 이외에도 반도총후미술전(半島銃後美術展)에는 심사위원으로, 1943년 '애국백인일수(愛國百人一首)전람회' 등에 참여했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 작가 및 심사위원, 수도여자사범대학 명예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안중근 · 서재필 · 이승만, 미국대통령 윌슨 ·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등의 초상화를 그렸다. 1979년 2월 7일 사망했다.

김은호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3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3: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735∼751)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문화훈장대통령장, 1965년 3 · 1문화상 예술부문 본상, 1968년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받았다.

참고문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3: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이당 김은호』(한국근대미술연구회 편, 국제문화사, 1978)
『화단일경』(이구열, 동양출판사, 1968)
『매일신보』
「한국미술의 일제 식민잔재를 청산하는 길」(『계간미술』 25호, 1983.봄)
주석
주1

1920년대에 한국의 동서양 화가들이 모여서 만든 미술 단체. 박영래, 강진구, 정규익 등의 서양화가들과 김은호, 변관식 등의 동양화가들이 모여서 만든 단체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심재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