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경설 ()

목차
천도교
개념
동학의 2대 교주 최시형의 경천 · 경인 · 경물의 세 가지 가르침을 뜻하는 천도교교리.
목차
정의
동학의 2대 교주 최시형의 경천 · 경인 · 경물의 세 가지 가르침을 뜻하는 천도교교리.
내용

첫째, 경천은 최제우의 가르침을 이어받은 것으로 ‘결단코 허공(虛空)을 향하야 상제(上帝)를 공경한다는 것이 아니요, 내 마음을 공경함이 곧 경천의 도를 바르게 아는 길’이다. 그래서 ‘오심불경(吾心不敬)이 곧 천지불경(天地不敬)’이라는 것이며, 경천은 ‘모든 진리의 중추를 파지(把持)함’이다.

둘째, 경인은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경천은 경인의 행위에 의지하여 사실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며 ‘경천만 있고 경인이 없으면 이는 농사의 이치는 알되 실제로 종자를 뿌리지 않는 행위와 같은’ 것이다.

“귀신을 공경할 줄은 알되 사람을 천대하는 것은, 죽은 부모의 혼은 공경하되 산 부모는 천대함과 같으니라. 한울이 사람을 떠나 따로 있지 않은지라 사람을 버리고 한울을 공경한다는 것은 물을 버리고 해갈(解渴)을 구하는 자와 같으니라.”라고 경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경물은 “모든 사물이 하느님이고 모든 일이 곧 하느님이다[物物天事事天].”라는 가르침으로 “사람 섬기기를 하느님같이 하라[事人如天].”라는 가르침에서 “물(物)을 공경함에까지 이르러야 천지기화(天地氣化)의 덕(德)에 합일”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최시형은 1885년(고종 22) 청주의 서택순(徐宅淳)이라는 교인의 집을 지나다가 그 집 며느리의 베짜는 소리를 듣고 “저 소리도 또한 시천주(侍天主)의 소리니라.”라고 하였다.

최시형은 대체로, 이 무렵부터 사람은 누구나 다 하느님을 모시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온갖 사물이 다 하느님을 모시고 있다는 사상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세 가지 가르침은 천도교에서 널리 활용되어 근대적인 의미가 부여되었다.

사람을 공경하라는 것은 휴머니즘의 뜻으로, 그리고 사물을 공경하라는 것은 물자를 보호하고 존중하라는 뜻으로 해석되었다.

참고문헌

『천도교창건사』(이돈화,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동학·천도교』(류병덕, 시인사, 1976)
집필자
최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