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신복사지 석조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정면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정면
조각
유물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내곡동 신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신복사지 석불좌상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번지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내곡동 신복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81㎝.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앞에 무릎을 꿇고 공양하는 자세로 앉아 있는데, 근처의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 개태사 석조보살좌상(머리 부분 결손)과 함께 고려 초에 조성된 독립 공양상으로서 주목된다.

내용

이 보살상은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국보. 1967년 지정)과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처럼 원통형의 높은 관을 쓰고 있다. 그러나 관 위에 천개(天蓋)가 놓여 있기 때문인지 관은 높이도 낮고 약간 뒤로 젖혀진 모습이다. 관의 표면과 관 위의 천개 안쪽에 커다란 구멍들이 있는데, 금속 장식을 달기 위하여 뚫었던 듯하다.

부드럽고 복스러운 얼굴에 웃음을 머금고 입을 안으로 꼭 다문 천진한 모습은 예천 청룡사 석조여래좌상(보물, 1965년 지정)의 입 모양과 흡사하다. 눈썹은 초승달 같은 곡선을 이루고 어깨까지 내려오는 긴 귀의 양 끝에 구멍이 뚫려 있어 금속제 귀걸이를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편평한 목 위에 선각(線刻)으로 층을 이룬 삼도(三道)를 새겼고 무늬 없는 목걸이와 팔찌를 두르고 있다.

두꺼운 천의를 어깨와 가슴에 둘렀다. 왼팔을 무릎 위에 올리고 모아 쥔 두 손은 가슴에 꼭 붙이고 있으며 손에 뚫린 큰 구멍에는 지물(持物)의 손잡이였던 금속주(金屬柱)가 남아 있다.

이 보살상은 원형의 대좌받침이 있는데, 안이 움푹한 원래의 연화대좌에 이것을 끼워 넣게 되어 있다. 현재 대좌받침의 앞부분이 없어졌다. 대좌 위에는 두 개의 금속주가 있어 원래는 대좌받침 촉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대좌가 정확히 맞추어져 있지 않아서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화좌 밑에는 폭이 좁은 중대석이 있고 거기에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그 아래 넓은 팔각형의 지대석이 묻혀 있으며 복련(覆蓮: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의 하대가 있었을 것이지만 현재 남아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풍만한 신체와 다정한 얼굴에서 상당히 인간적인 분위기를 준다. 그러나 반타원형으로 조각된 보발(寶髮)이나 규칙적인 간격으로 나누어진 옷주름 등에서 약간 형식화된 점이 발견된다. 같은 강원도 명주 지방에서 제작된 한송사지 보살좌상이 보여주는 신라적인 요소가 차츰 사라지고 양식화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릉 한송사지 보살좌상, 평창 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과 함께 고려 초기에 강원도 명주 지방에서 유행하던 불상 양식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고려전기 11세기무렵의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최성은 , 일조각, 2013)
『한국예술총람』고려편(예술원, 1964)
「고려초기 명주지방의 석조보살상에 대한 연구」(최성은,『불교미술』5, 동국대학교박물관, 1980)
집필자
최성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