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국사 ()

순천 송광사 국사전 내부 십육국사 진영
순천 송광사 국사전 내부 십육국사 진영
불교
인물
고려후기 조계산(曹溪山) 송광사(松廣寺)에서 배출된 16인의 국사(國師).
목차
정의
고려후기 조계산(曹溪山) 송광사(松廣寺)에서 배출된 16인의 국사(國師).
개설

고려시대에 수선사(修禪社)의 사주(社主)로서 국사의 칭호를 받았던 15인과 조선 초기에 송광사를 중창하였던 고봉(高峰)을 합쳐서 16국사라고 칭한다. 이들 16국사의 배출로 인하여 송광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중의 하나인 승보사찰(僧寶寺刹)로 불린다.

현재 송광사의 국사전(國師殿)에는 16국사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1세 보조(普照), 2세 진각(眞覺), 3세 청진(淸眞), 4세 진명(眞明), 5세 원오(圓悟), 6세 원감(圓鑑), 7세 자정(慈靜), 8세 자각(慈覺), 9세 담당(湛堂), 10세 혜감(慧鑑), 11세 자원(慈圓), 12세 혜각(慧覺), 13세 각진(覺眞), 14세 정혜(淨慧), 15세 홍진(弘眞), 16세 고봉(高峰)의 순서로 되어 있다.

그러나 1678년(숙종 4)에 조종저(趙宗著)가 지은 송광사사적비에는 16인 중 8세인 자각국사가 빠져 있고, 6세와 7세가 국사전의 영정과는 서로 뒤바뀌어 있으며, 그 밖에도 몇 가지의 시비가 있다.

첫째, 6세에 자정, 7세에 원감이라는 송광사사적비의 기록은 그 차례가 뒤바뀐 것으로, 수선사의 6세는 원감국사였음이 틀림없다. 그 까닭은 1314년(충숙왕 1)에 지은 원감국사비명 중에 ‘조계산수선사 제6세 원감국사’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송광사사적비에는 8세 자각국사가 빠져 있다. 그러나 『불조원류(佛祖源流)』와 국사전 영정을 통해서 8세가 자각국사임을 밝힐 수 있다. 셋째, 현 국사전 영정에서 13세 국사를 각엄(覺嚴)으로 적고 있는데, 이는 법호(法號)인 복구(復丘)와 국사 호(號)인 각진(覺眞)을 혼동한 것이므로 각진국사가 옳다.

넷째, 9세 담당을 송광사사적비에서는 국사로, 국사전 영정에서는 화상으로 각각 달리 기록하고 있는데, 담당은 다분히 전설적인 인물이므로 어느 것이 옳다고 확실히 말할 수는 없다. 다섯째, 16세 고봉은 나라에서 직접 국사의 칭호를 준 것은 아니지만, 조선 초기에 송광사를 크게 중창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송광사 자체에서 추배(追配)한 것이다.

활동사항

제1세 보조국사의 법명은 지눌(知訥)이며, 수선사의 창건자이다. 제2세 진각국사의 법명은 혜심(慧諶)이며, 지눌의 뒤를 이어 크게 종풍(宗風)을 진작시킨 대선사이다. 제3세 청진국사의 법명은 몽여(夢如)이며, 혜심의 착실한 제자로서 건전한 불교 기풍이 뒷날까지 일관된 맥락으로 이어지게 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제4세 진명국사의 법명은 혼원(混元)이며, 1252년에 수선사의 제4세가 되었다. 제5세 원오국사의 법명은 천영(天英)이며, 1256년에 제5세가 되어 이름 있는 제자들을 많이 배출하였다. 제6세 원감국사의 법명은 충지(沖止)이며, 1286년에 제6세가 되었다.

제7세 자정국사의 부도인 묘광탑(妙光塔)이 현재 송광사 자정암(慈靜庵) 동북쪽에 남아 있다. 제8세 자각국사의 법명은 도영(道英)이며, 제5세 원오국사와 특별한 친분이 있었고, 제13세 각진국사의 제2의 스승이다. 제9세 담당국사는 금나라 장종(章宗)의 셋째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제10세 혜감국사의 법명은 만항(萬恒)이며, 언제 10세가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313년을 전후한 때로 보고 있다. 제11세 자원국사는 묘엄존자(妙嚴尊者)로도 불렸다. 제12세 혜각국사는 경상북도 구미시 주륵사(朱勒寺)에 비가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지 않는다.

제13세 각진국사의 법명은 복구이며, 수선사의 활약이 힘을 잃어 가던 고려 말에 다시 선풍을 크게 불러일으킨 고승이다. 제16세 고봉의 법명은 법장(法藏)이며, 조선 초기에 송광사를 중창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5)
『조선불교통사』(이능화, 신문관, 1918)
「송광사사적비(松廣寺事蹟碑)」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