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동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황해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옥여(玉汝)
추탄(楸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38년(세종 20)
사망 연도
1494년(성종 25)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황해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호조참판
정의
조선 전기에, 황해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옥여(玉汝). 호는 추탄(楸灘). 고조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이문정(李文挺), 증조는 검교중추부사(檢校中樞副使) 이몽(李蒙)이고, 할아버지는 하동감무(河東監務) 이중유(李仲由)이며, 아버지는 안동판관(安東判官) 이달성(李達城)이다. 어머니는 현감(縣監) 이종미(李種彌)의 딸 경주이씨(慶州李氏)이고, 부인은 지평(持平) 김이용(金利用)의 딸 상산김씨(商山金氏)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62년(세조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어서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예문관 겸 예문에 제수되었다. 1466년 예문관대교로서 발영시(拔英試)에 응시, 시부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 세조의 신임을 얻고 선전관(宣傳官)에 발탁되었다.

이듬해 양성지(梁誠之)와 함께 『북정록(北征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예종 때는 예조정랑·승문원교리로서 『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469년(예종 1) 알성시에서 시부에 장원하였다. 1474년(성종 5)부터는 사헌부로 옮겨 장령·집의 등을 역임하면서 관기 확립과 민폐 시정 등에 노력하였다. 특히, 포도수령(捕盜守令)의 논상법(論賞法)을 성문화했고, 조세 부과에 있어 연분법(年分法)의 불합리성을 시정하였다.

1475년 사은사(謝恩使)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77년에는 왜인의 동태에 유의할 것을 경고하였다. 이어서 임사홍(任士洪)의 횡포를 견제했고, 내수사 장리(長利)로 인한 민폐를 시정하였다. 그 뒤 승정원으로 옮겨 성종의 신임을 받으며 국정을 보필하였다.

1479년 왕비 윤씨의 폐위에 반대했으나, 갑자사화를 일으킨 연산군은 당시 현직 승지라고 해 직첩을 회수하기도 하였다. 같은 해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민정을 다스리고, 이어서 동지중추부사·호조참판·예조참판·형조참판·병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483년 『강목신증(綱目新增)』을 왕명으로 찬술했고, 1486년에는 대사헌으로서 유자광(柳子光)을 탄핵하였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면암집(勉菴集)』
집필자
최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