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숭효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인물
조선 중기 「어옹귀조도」, 「수금도」 등을 그린 화가.
이칭
백달(伯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전주
목차
정의
조선 중기 「어옹귀조도」, 「수금도」 등을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달(伯達). 상좌(上佐, 일명 陪連)의 아들이며, 정(楨)의 아버지이다. 허균(許筠)이 찬한 「이정애사(李楨哀辭)」에 의하면 그가 요절하였기 때문에 아들 정을 그의 동생인 흥효(興孝)가 양육하였다 한다. 『동국문헌』 화가편에 그림을 잘 그렸다고 전한다.

「어옹귀조도(漁翁歸釣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수금도(水禽圖)」(개인소장)가 전해지고 있으며, 「어부도(漁夫圖)」(개인소장)가 그의 그림으로 전칭되고 있다. 활달한 필치와 흑백대비가 심한 묵법(墨法)을 특징으로 하는 이들 그림에는 당시 세력을 누리기 시작하였던 절파풍(浙派風)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동생인 흥효나 아들인 정에 비하여 회화사적 비중이 다소 미약한 편이지만, 16세기 화단의 절파화풍 전개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화가이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1 -산수화(山水畵) 상(上)-』(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1980)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한국절파화풍(韓國浙派畵風)의 연구(硏究)」(안휘준, 『미술자료』20, 국립중앙박물관, 1977.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홍선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