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증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고을을 지켰으며, 서당을 짓고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힘쓴 학자 · 의병.
이칭
희로(希魯)
관란(觀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5년(중종 10)
사망 연도
1599년(선조 32)
본관
월성(月城,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출생지
경주
주요 관직
사옹원제조|상의원제조|사도시직장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의
조선 중기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을 일으켜 고을을 지켰으며, 서당을 짓고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힘쓴 학자 · 의병.
개설

본관은 월성(月城). 자는 희로(希魯), 호는 관란(觀瀾). 경주 출신. 아버지는 훈도 이계간(李季干)이며, 어머니는 영천이씨(永川李氏)이다. 김대유(金大有)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8년(명종 13) 생원·진사시에 모두 합격하여, 추천으로 1560년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 1562년 사옹원제조(司饔院提調), 1564년 상의원제조(尙衣院提調), 1572년(선조 5)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 1580년 종부시전첨(宗簿寺典籤), 1585년 사도시직장(司䆃寺直長) 등에 차례로 제수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다.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서는 3년 동안 시묘를 하는데, 아침저녁으로 절을 올린 자리에 땅이 한자[尺]나 패었으며, 호랑이가 짐승을 잡아다가 제물로 바쳤다고 한다. 이에 관찰사가 문장과 효행을 조정에 알려 정려가 내려졌고, 마을 사람들은 그 효행에 감탄하여 마을 이름을 ‘충효동(忠孝洞)’으로 고쳤다.

만년에는 금학산(金鶴山)에 들어가 삼회당(三會堂)이라는 서당을 짓고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여 문도가 수백명에 달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최동보(崔東輔)·최여호(崔汝琥)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을을 지켰다.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관란문집(觀瀾文集)』 1권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사마방목(司馬榜目)』
『관란문집(觀瀾文集)』
『삼강록(三綱錄)』
『동경지(東京誌)』
집필자
김능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