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양 ()

목차
관련 정보
산수도 / 이의양
산수도 / 이의양
회화
인물
조선후기 「송호도」 · 「유하준마도」 · 「강남우후도」 등을 그린 화가.
이칭
이신(爾信)
신원(信園), 운재(雲齋), 팔송관(八松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8년(영조 4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안산(安山)
주요 관직
통신사행 수행화원
목차
정의
조선후기 「송호도」 · 「유하준마도」 · 「강남우후도」 등을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신(爾信), 호는 신원(信園)·운재(雲齋) 또는 팔송관(八松觀). 역관으로 봉사를 지낸 이학수(李學洙)의 아들이며, 이한철(李漢喆)의 아버지이다.

1811년(순조 11)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행의 수행화원으로 일본 대마도에 다녀왔다. 1819년(순조 19)에 이수민(李壽民)·김화종(金和鍾) 등 여러 화원들과 함께 「문조신정후가례반차도(文祖神貞后嘉禮班次圖)」 제작에 참여하였다. 『고화비고(古畫備考)』에 의하면, 산수를 잘 그리고 송호도(松虎圖)에 뛰어났다고 한다.

대표작으로 우리나라와 연경(燕京)간의 명승유적과 대마도 주변을 묘사한 『사생첩(寫生帖)』(간송미술관 소장)이 있는데, 전반적으로 형식화의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이 밖의 작품들도 대체로 남종화풍(南宗畫風)에 의존하고 있으면서 경직되고 딱딱한 필법과 묵법(墨法)을 보여준다.

유작으로 간송미술관 소장의 「송호도」와 이상무(李相武) 소장의 「유하준마도(柳下駿馬圖)」, 일본인 개인 소장의 「강남우후도(江南雨後圖)」 등이 있다.

참고문헌

『화사양가보록(畵寫兩家譜錄)』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보화각소장의 이신원사생첩」(전영우, 『고고미술』94, 1968)
집필자
홍선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