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부총관,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여량(汝量)
시호
충강(忠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0년(선조 23)
사망 연도
1665년(현종 6)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선전관|충청도병마절도사|삼도수군통제사
관련 사건
이괄의 난
정의
조선시대 부총관, 충청도병마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량(汝量). 태종의 아들 경녕군 이비(李礻+非)의 6대손으로, 아버지는 이유인(李𥙿仁)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한때 궁중 금원(禁苑: 출입이 금지된 대궐안의 후원) 안에 들어온 범을 잡은 일이 있었다. 이이첨(李爾瞻)이 문무백관을 위협하여 폐모하기를 청할 때에 참여하지 않았다.

인조반정 때 돈화문 밖에서 수비하다가 밤에 반정군이 이르자 문을 열어 들어가게 하였다. 반정 후 그를 죽이려 하자, 이귀(李貴)가 길을 비켜준 그의 공을 역설하여 화를 면하게 하였다.

그 뒤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키자, 도원수 장만(張晩)의 군에 들어가 선봉이 되어 적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자산부사를 거쳐 부총관이 되었다.

1636년(인조 14)에 회답사(回答使)가 되어 청나라 심양(瀋陽)에 갔을 때, 심양에서는 국호를 청(淸)이라 고치고 왕을 황제로, 연호를 숭덕(崇德)이라 하여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려고 할 때 그의 일행을 조선 사신으로 참여시키려고 하였으나, 결사적으로 항거하여 그 의식에 불참하고 돌아왔다.

우리 조정에서는 그 사실을 잘못 전하여 듣고, 한때 선천에 유배시켰다가 뒤에 충절을 알고 석방하였다. 이 해 호적(胡賊)이 침입하자 남한산성을 수비하는 데 활약하였고, 난이 끝난 뒤 충청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641년 삼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강(忠剛)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경녕군파세보(敬寧君派世譜)』
집필자
이재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