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현왕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제19대 왕 숙종의 계비.
이칭
시호
효경숙성장순의열정목인현왕후(孝敬淑聖莊純懿烈貞穆仁顯王后)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667년(현종 8)
사망 연도
1701년(숙종 27)
본관
여흥(驪興)
관련 사건
기사환국 | 갑술옥사
내용 요약

인현왕후(仁顯王后)는 조선 후기, 제19대 왕 숙종의 계비이다.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이며, 어머니는 은성부부인 은진 송씨(恩津宋氏)로 송준길(宋浚吉)의 딸이다. 1681년 15세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1689년 폐서인이 되었다가 1694년 복위되었고, 1701년 병으로 사망하였다. 소생은 없다.

정의
조선 후기, 제19대 왕 숙종의 계비.
주요활동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아버지는 여양 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이고, 어머니는 은성 부부인 은진 송씨(恩津宋氏)로 송준길(宋浚吉)의 딸이다. 1681년(숙종 7)에 15세의 나이로 가례(嘉禮)를 올리고 숙종주1가 되었다. 왕비가 된 초기에 출궁된 궁인 주2희빈 장씨〕를 다시 불러들여 주3한 왕비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장씨가 숙종의 총애로 점점 교만해져 회초리로 다스린 적이 있는데, 이것이 질투를 하였다는 빌미가 되었다.

숙종은 경종이 태어난 후 인현왕후가 질투 때문에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다 하지 않았다며 주4하고 주5에 나가 살게 하였다. 이때 장씨 측의 남인이 정권을 잡는 기사환국이 있었다. 그러나 5년 후 김춘택의 인현왕후 복위 논의가 주6로 이어지면서 숙종은 1694년(숙종 20) 4월 12일 삼불거(三不去)를 언급하면서 인현왕후를 주7시켰다.

당시 집권당인 소론의 반발이 심하여 6월에 다시 주8를 올리고 왕비로 등극하였다. 1700년(숙종 26년) 3월에 발병한 괴질로 투병하다가 1701년 8월 14일에 창경궁 경춘전(景春殿)에서 사망하였다.

이때에 병에 시달리게 된 것이 희빈 장씨의 저주 때문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희빈 장씨가 저주한 것으로 기정사실화되면서 장씨는 사약을 받았다. 이 괴질은 훗날 주9으로 추정되었다. 궁녀가 쓴 『 인현왕후전』이 전해지고 있다. 훗날 영조는 인현왕후의 덕을 기리고자 폐서인으로 머물렀던 사가에 감고당(感古堂)이라는 현판을 내렸다. 감고당에는 훗날 5대 후손 명성황후가 잠시 거처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효경숙성장순의열정목인현왕후(孝敬淑聖莊純懿烈貞穆仁顯王后)이고, 능호는 명릉(明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 서오릉(西五陵) 묘역 안에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계보(璿源系譜)』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단행본

지두환, 『숙종대왕과 친인척』(역사문화, 2009)
주석
주1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    우리말샘

주2

조선 숙종의 빈(?~1701). 경종의 어머니이다. 숙원(淑媛)으로 있다가 자신이 낳은 왕자가 원자(元子)로 책봉되자 희빈으로 올랐다. 기사환국이 일어나자 정비(正妃)가 되었으나, 갑술옥사 후 무고(巫蠱)의 옥(獄)에 연루되어 죽었다.    우리말샘

주3

덕이 후함. 또는 그런 덕.    우리말샘

주4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빼앗아 서민이 되게 함. 또는 그렇게 된 사람.    우리말샘

주5

개인이 살림하는 집.    우리말샘

주6

조선 숙종 20년(1694)에 당시의 집권층인 남인(南人)이 폐비 민씨의 복위 운동을 꾀하던 일파를 제거하려다 도리어 화를 입은 사건. 이를 계기로 남인계는 와해되고 소론계가 집권하게 되었으며, 정계는 노론과 소론의 양립 국면으로 전환하였다.    우리말샘

주7

폐위되었던 제왕이나 후비(后妃)가 다시 그 자리에 오름.    우리말샘

주8

왕비를 책봉하던 의식.    우리말샘

주9

팔다리 관절에 심한 염증이 되풀이되어 생기는 유전성 대사 이상 질환. 관절 속이나 주위에 요산염이 쌓여서 일어나며, 열이 나고 피부가 붉어지며 염증이 생긴 관절에 통증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