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조선농민사 ()

목차
근대사
단체
1930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농촌운동단체.
목차
정의
1930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농촌운동단체.
내용

1930년 4월 6일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 제3차 전국대표자대회에서 천도교청년당측이 제안한 법적관계 3개조안이 통과되어, 조선농민사는 자주적 임원선출권·결의권·운영권을 상실하고 천도교청년당 농민부 산하단체가 되었다.

이에 당시 조선농민사 중앙이사장으로 있던 이성환(李晟煥) 등 비천도교청년당측 인사들이 탈퇴하여 ‘조선농민사의 정통적 이론 및 체계의 고지(固持)’를 표방하면서 이 단체를 설립하였다.

그 뒤 1931년 1월에는 명칭을 전조선농민조합(全朝鮮農民組合)으로 변경하고, 기본강령으로 ① 농민의 부채경감, ② 농촌 고리대금업의 퇴치, ③ 산업단체의 법규 및 예산의 비판, ④ 농민교육의 보급 철거, ⑤ 봉건적 유풍의 배제, ⑥ 전체운동의 인식 등을 정하고 지방 조직에 힘을 쏟았다.

그리하여 1931년 말 18개의 군(郡)연합회와 조합원 1만 2,161명을 거느리는 단체로 확대되었는데, 1932년 2월 전국대회가 일제에 의하여 강제 중지를 당한 뒤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조선농민사는 1930년 12월에 순회강연대를 농촌에 파견하여 계몽강연을 실시하였다. 또 1931년 2월 일제에 의하여 대다수의 조합간부가 피검된 함경남도정평농민조합(定平農民組合) 사건 때에는 위문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농민운동을 지원하였다.

참고문헌

『일제하한국농민운동사』(조동걸, 한길사, 1979)
「조선농민사의 단체성격에 관한 연구」(지수걸, 『역사학보』106, 1985)
집필자
조동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