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사 ()

목차
불교
유적
옛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5대 숙종 당시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옛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5대 숙종 당시 창건한 사찰.
내용

고려 숙종 때 창건하였으나 당시의 규모는 크지 않았다. 예종 때 크게 경영된 흔적이 보이는데, 『고려사』예종 원년(1106) 9월 10일조에 의하면, 평장사 윤관(尹瓘)에게 중창할 것을 명하였다.

원래 이 절 부근에는 약사원(藥師院)이라는 절이 있었는데, 대신들이 천수사의 절터가 불리하니 약사원을 헐고 그 자리에 천수사를 짓게 하자고 주장하였다. 이에 예종은 1111년약사원의 자리에 천수사를 옮겨 짓도록 하였고, 1116년에 준공하여 숙종과 명의 왕후의 영정을 봉안하였는데, 이 절이 숙종의 원찰이었기 때문이다. 그 뒤 예종·숙종·의종 등이 자주 행차하였으며, 1260년(원종 1)에는 고종 목주(木主)의 혼전(魂殿:임금이나 왕비의 국장 뒤에 3년 동안 신위를 모시던 전각)을 이 절에 옮겼다. 1276년(충렬왕 2)충렬왕이 공주와 함께 이 절에 행차하였다. 특히, 이 절 주위의 풍치가 아름다워 사신을 맞이하거나 놀기에 적합한 장소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풍악을 울리면서 사신들을 맞이하고 전송하였다고 한다.

고려의 패망과 함께 이 절은 폐사가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주춧돌만 남게 되었지만, 그곳이 교통의 요충지라는 중요성 때문에 그 일대를 천수원(天壽院)이라 하고 역원(驛院)을 만들었다. 1476년(성종 7)에 이예(李芮)가 이 절을 중창하고자 상소문을 올리기까지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현재 천수원 부근에는 몇 군데 봉수가 남아 있다. 절터 서쪽에는 취적교(吹笛橋)라는 다리가 있는데, 김진사라는 사람이 피리를 잘 불어 달 밝은 밤에 뱀 모양의 두건을 쓰고 피리를 불다가 뱀으로 변하여 물속으로 들어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또, 동쪽에 있는 나복교(羅伏橋)는, 신라경순왕이 이 다리에서 왕건에게 투항하였는데, 그 때 신라 대신들 중 다리 밑으로 떨어져 죽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이 밖에 예종 때의 화가 이녕(李寧)이 「천수사남문도(天壽寺南門圖)」를 그려 왕의 칭찬을 받았다는 기록이 전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송도(松都)의 고적(古蹟)』(고유섭, 열화당, 1977)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