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곡집 ()

목차
관련 정보
현곡시집
현곡시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정백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정백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3책. 목판본. 저자가 죽은 뒤 15년이 지난 1650년(효종 1) 아들 선흥(善興)이 병자호란 중 일실된 유문(遺文)을 모아 시집 6권 2책, 문집 2권 1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이민구(李敏求)의 서문과 이식(李植)이 쓴 묘지명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집 권1에 오언절구 22수, 권2에 칠언절구 54수, 권3에 오언율시 130수, 오언배율 5수, 권4에 칠언율시 91수, 권5에 오언고시 60수, 권6에 칠언고시 10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체로 파직을 당한 뒤의 쓸쓸한 감회를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권5·6에 실려 있는 고시는 이식이 높이 평가하였을 만큼 뛰어난 품격을 지니고 있다.

문집 권1에 서(書) 6편, 전(箋) 8편, 표(表) 11편, 상량문 2편, 계(啓) 1편, 서(序) 1편, 권2에 소(疏)·서(序)·사(辭)·표 각 1편, 제문 21편 등이 실려 있다. 이 중 서(書) 6편은 관직에 있으면서 공무로 이원익(李元翼)·심명세(沈命世)·이안눌(李安訥) 등에게 쓴 것이다.

표와 전에서는 일반적으로 왕의 은혜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낙민루서(樂民樓序)」는 함흥에 있는 낙민루의 경관을 묘사하고 풍속의 순후함과 산물의 풍부함을 적은 것이다. 제문 21편 중에는 이수광(李睟光)에 대한 제문도 들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명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