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거연정 ( )

함양 거연정 전경
함양 거연정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에 있는 조선중기 동지중추부사 전시서가 건립한 누정. 정자.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에 있는 조선중기 동지중추부사 전시서가 건립한 누정. 정자.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서하면 봉전마을 앞을 흐르는 남강천의 암반 위에 건립되어 있는 1동의 건물로, 2005년 10월 1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옛 안의(安義) 3동의 하나인 화림동 계곡으로서, 농월정과 용유담, 그리고 거연정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역사적 변천

고려 말의 충신이며 정선 전씨(旌善全氏)의 파시조인 전오륜(全五倫)의 7대손 동지중추부사 전시서(全時敍)가 1640년(인조 18)경 서산서원을 짓고 현 위치에 억새로 만든 누정을 처음으로 지었으나, 1853년(철종 4) 화재로 서산서원이 불타자 이듬해 복구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서원철폐령에 따라 서원 자체가 훼철되자 1872년 전시서의 7대손 전재학(全在學) 등이 억새로 된 정자를 철거하고, 훼철된 서산서원의 재목으로 재건립하였으며, 1901년에 중수하였다.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중층 누각 건물로, 내부에는 벽체(뒷벽)를 판재로 구성한 판방을 1칸 두고, 각주로 네 귀퉁이를 받치고 대청과 방 영역을 머름을 두어 구분하고 있다. 방 상부는 간단하게 인방재를 건너고 판재로 막아 천장을 만들었다. 현재 삼면에 낸 문은 모두 없는 상태이며, 사면 모두 기둥의 바깥쪽으로 약 30㎝ 정도를 연장하여 계자난간을 둘렀고, 출입은 배면쪽 자연암반에 2단의 시멘트 계단을 덧붙여 시행하고 있다. 마루에는 주1가 깔려 있는데, 이것은 원래 주2였으나 후에 변형된 것으로 함양군에서 원형복구를 추진 중에 있다.

천연의 암반 위에 조성하였으므로 굴곡이 심한 암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주초를 쓴 기둥도 있고, 쓰지 않은 기둥도 있다. 기둥은 모두 원주이며, 누하주는 직경이 큰 재목을 틀어지거나 울퉁불퉁한 채로 대강 다듬어 사용하였다. 마루 위의 기둥은 하부에 사각형으로 모를 줄인 초석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였다. 기둥에 비해서 주3주4는 부재 치수가 크고 견실하며, 서원의 재목을 쓴 곳은 누상부 부분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면의 추녀 끝 부분에는 활주를 세워 건물의 안정감을 높였고, 기둥 상부에는 익공 형태의 부재 없이 주5로 처리하였다. 창방과 주6 장혀 사이에는 소로를 끼워 장식하였다.

정면 어칸 상부는 창방을 사절하고 처마도리와 장혀 안으로 지지하고 계자난간도 끊어서 출입하는 장소로서의 상징성을 높이고 있다. 가구는 5량 구조로, 대들보 위에 동자주를 세워 종보를 받도록 하였고, 종보 위에는 종도리 장혀가 바로 올려지도록 구성하였으며, 좌 · 우 측면에서는 충량을 보내 대들보 위에 얹었는데 충량의 머리 부분은 가공 없이 직절(直切)하였다. 단청은 올리지 않았으며 겹처마에 합각지붕형식이다.

현황

봉전마을 앞에 위치하여 주민들과 관광객들의 쉼터로 개방되고 있으며, 현재 정선전씨 거연정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건축이었으나 이후 화재와 훼철 등으로 예전의 모습은 찾을 길이 없고, 19세기 말에 재건축한 누정이기는 하지만 전통 건축물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선조들의 풍취를 그대로 간직했다는 측면에서 손색이 없다. 자연 바위를 그대로 이용하고 주변 경관으로 물과 소나무를 조화시킨 건축기법이 뛰어나다.

참고문헌

『김영택펜화연화장』(김영택, 홍익재, 2006)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장귀틀과 동귀틀을 놓아서 짜지 아니하고, 긴 널로 죽죽 깔아서 만든 마루. 우리말샘

주2

마룻귀틀을 짜서 세로 방향에 짧은 널을 깔고 가로 방향에 긴 널을 깔아서 ‘井’ 자 모양으로 짠 마루. 우리말샘

주3

작은 들보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우리말샘

주4

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우리말샘

주5

기둥머리에 끼워 보의 짜임새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部材). 우리말샘

주6

변두리 기둥이나 벽체 위에 건너질러 서까래를 받는 도리. 우리말샘

집필자
이용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