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재유고(壽齋遺稿)
권1은 응제록(應製錄)으로 시 49수, 표(表) 3편, 교지(敎旨) 4편, 불윤비답(不允批答) 1편, 축문 3편, 제문 3편, 명(銘) 1편, 권2∼4는 은과록(恩課錄)으로 부(賦) 5편, 시 29수, 표(表)·전(箋) 24편, 조(詔) 2편, 제(制) 2편, 고(詁) 1편, 교(敎) 2편, 노포(露布) 1편, 전책(殿策) 1편, 집책(執策) 1편, 의(義) 2편, 서(序) 2편, 잠(箴) 1편, 명 1편, 강의(講義) 6편, 권5는 일득성어록(日得聖語錄) 6편, 권6은 공거록(公車錄)으로 소(疏) 2편, 전 4편, 문의(文義) 1편, 별단(別單) 1편, 권7은 습유록(拾遺錄)으로 시 7수, 표 3편, 전(箋) 2편, 소 2편, 서(書) 13편, 서(序) 1편, 제문 3편, 권8은 부록으로 전교(傳敎)·유지(諭旨)·어제유제문(御製諭祭文)·묘지명·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응제록과 은과록은 대부분이 공거문의 좋은 표본이 될 수 있으며, 권5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