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견차기(聞見箚記)
앞에는 흥왕사적(興王事跡),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정몽주(鄭夢周)의 제거, 한양 도읍의 결정, 종계변무(宗系辨誣), 정도전(鄭道傳)의 모역(謀逆)과 태종의 등극 과정, 특히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및 병자호란 관계 사실이 큰 비중으로 수록되어 있다. 한편, 붕당과 사화를 취급한 부분에 있어서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역대사적’은 8∼10책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역대고 상(歷代考上)’·‘역대고 하(歷代考下)’·‘역대요어고(歷代要語考)’로 나누어져 있다. ‘역대고 상’에는 중국 왕조의 역대고를 전설시대의 인물로부터 반고씨(盤古氏) 이하 천황을, 그 형제들의 생존 연한과 함께 밝혀두었다. 그 뒤를 이어서 ‘섭제기(攝提紀)’의 59씨와 ‘각추기(各隹紀)’의 3씨, ‘연통기(連通紀)’의 6씨, ‘서명기(敍命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