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가라산 봉수대 ( )

목차
통신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연기를 활용한 봉수대. 통신시설. 시도기념물.
목차
정의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연기를 활용한 봉수대. 통신시설. 시도기념물.
내용

1995년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거제현에는 봉화가 가라산에 한 곳 있는데, 현의 남쪽 해변에 있으며 서쪽으로 고성의 미륵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지리지』에 보면, 가라산연대봉화는 현의 남쪽 35리(약 13.7km) 정도에 있으며, 서쪽으로 고성의 미륵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경상도속찬지리지』에도 가라산연대봉화는 처음 봉화를 일으키며 서쪽으로 고성의 미륵산봉화와 연락한다고 하였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가라산봉수는 북쪽으로 거제의 계룡산봉수와 연락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전국 봉수의 주요 간선은 5개 직봉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가운데 제2거(炬)는 동래―서울 간으로 직봉 44개와 간봉 110개가 있다.

제2거 봉수에는 10개의 간봉 지선이 있다. 거제 가라산봉수에서 첫 봉화를 피운 간봉은 고성의 미륵산 · 우산 등을 거쳐 충주의 마산 직봉으로 연결되었다. 이처럼 가라산봉수는 처음 봉화를 피우는 경상도 남해안의 중요한 봉수의 하나였으며, 봉수대는 동부면과 남부면 경계의 가라산 정상에 있다.

이 정상을 기점으로 남부면 탑포리와 다대리, 동부면 학동리로 나누어진다. 봉수대에 오르는 산길은 탑포리 · 다대리 · 학동리에 있으나, 학동리 오지막에서 오르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 봉수대 중앙 연대는 군헬기장이 설치되면서 훼손되었으나, 주위에는 부속 건물터의 석축 일부가 허물어진 채 남아 있다.

전체적인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을 이루며, 봉수대는 둔각을 이룬 네모꼴이다. 봉수대 아래에 계단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아래에는 봉수대 부속 건물터가 있다. 조선시대 남해안의 봉수제도와 봉수대의 실태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원전

『증보문헌비고』
『세종실록지리지』
『경상도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단행본

『거제의 문화유적』(거제시, 1997)
『한국의 봉수제도』(국방군사연구소, 1997)

논문

최완기, 「통신수단의 관리」(『한국사』24, 국사편찬위원회, 1994)
집필자
김동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