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민 장군 전공비 ( )

목차
관련 정보
진주 김시민장군 전공비 비각 전경
진주 김시민장군 전공비 비각 전경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조선후기 진주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시민 관련 전공비. 석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김시민 전공비(金時敏 戰功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2월 12일 지정)
소재지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 (본성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조선후기 진주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시민 관련 전공비. 석비.
개설

김시민 장군 전공비(金時敏將軍戰功碑)는 임진왜란 때에 김시민의 전공을 새긴 석비로, 진주 전성각적비(晉州全城却敵碑)라고도 부른다. 1972년 2월 12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에 있다.

내용

김시민(金時敏, 1554∼159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면오(勉吾)이다. 1578년(선조 11)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에 입사하였다. 1591년(선조 24)에 진주판관이 되었다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목사 이경(李璥)을 대신하여 목사직을 역임하였다.

1592년 10월 진주성 1차전투에서 진주판관 성수경(成守慶), 곤양군수 이광악(李光岳), 함창현감 강덕룡(姜德龍), 의령의병장 곽재우(郭再祐), 거창의병장 김면(金沔), 합천의병장 정인홍(鄭仁弘) 등 경상우도 관군과 의병을 연합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에 추록되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고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추봉되었다.

비는 진주성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단칸 맞배지붕의 비각으로 보호하고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진주 주민의 열망에 따라 1619년(광해 11)에 세운 것이다. 성균관진사 성여신(成汝信)이 글을 짓고, 성균관생원 한몽인(韓夢寅)이 글씨를 썼다.

비문에는 1천명도 안되는 병력으로 10만명의 군대를 물리쳤다고 했으나, 다른 기록에는 3,800여명으로 2만명의 적을 격퇴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경남문화재대관』도지정편(경상남도, 1995)
「임란시 일차진주성대첩에서의 학봉과 김시민의 공업」(박익환, 『아시아문화』12호, 1996)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