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諫)이라 함은 선·악을 분별하여 국왕에게 진술함을 뜻하는 것으로, 이를 맡은 관서 또는 관원을 간관이라 하였는데 고려시대에는 문하부(門下府)의 낭사인 좌·우간의대부(左右諫議大夫)로부터 정언(正言)까지를 칭하였다.
조선시대에 좁은 의미로는 간쟁·논박의 임무를 맡은 사간원 또는 사간원의 대사간·사간·헌납·정언 등 관원을 간관이라 하였다. 그러나 넓게는 관료의 기강을 감찰하는 사헌부와 사간원을 합칭하여 대간(臺諫)·언관(言官)·양사(兩司) 또는 간관이라 하다.
이는 둘 다 언론의 관서로서 강대한 발언권을 가지고 쟁책과 인사에 관여하였고, 장상대신(將相大臣)이나 종척귀근(宗戚貴近)이라도 이를 규탄하는 것은 물론, 국왕에 대해서도 항상 지극히 바른 말을 하는 것을 본령(本領)으로 하였던 때문이다. 조선시대 간관의 바른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은 국왕의 중요한 덕목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산군은 간언을 싫어하여 잠시 사간원을 폐지한 적도 있으나 중종반정으로 복구되었다. 또, 간관이 오래도록 간언을 하지 않으면 직무에 소홀하다 하여 처벌되기도 하였다 한다. 특히, 사간원의 정언 이상, 사헌부의 지평 이상의 간관을 대장(臺長)이라고도 일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