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적장 ()

목차
관련 정보
공신적장록
공신적장록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친공신(親功臣)의 적장자손(嫡長子孫).
목차
정의
조선시대 친공신(親功臣)의 적장자손(嫡長子孫).
내용

1392년(태조 1)의 개국공신 이후 1728년(영조 4)의 분무공신(奮武功臣)까지 조선시대에는 전후 28차례에 걸쳐 공신이 배출되었는데 이들의 적장자손을 말한다.

조정에서는 이들에게 공신의 작호를 4대까지 승습(承襲)시켜 공신 대우를 하였는데, 만약 정처(正妻)의 아들이 없을 경우 첩자(妾子)를 입속시키면 공신의 법에 따라 대우하기도 하였다.

이들 가운데 유능한 사람은 문·무과를 통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봉조하(奉朝賀)에 임명될 경우 실직 정1품을 지낸 자는 종4품, 종1품을 지낸 자는 종5품, 정2품을 지낸 자는 정6품, 종2품을 지낸 자는 종6품, 정3품 당상관을 지낸 자는 정7품에 해당하는 녹봉을 종신토록 지급받았다.

그렇지 못한 사람을 위하여 서반체아직(西班遞兒職)으로 종7품직 17인, 종8품직 38인, 종9품직 63인을 두고 매년 1월·7월 두 차례에 걸쳐 선발하였으며, 재직기간 108일이 지나면 승급하여 정3품까지 오를 수 있었다.

참고문헌

『경국대전』
『대전회통』
『역주경국대전』-주석편-(한우근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문수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