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 ()

목차
출판
개념
책의 간행지 · 간행자 · 간행연월 등 간행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부분을 가리키는 출판용어.
목차
정의
책의 간행지 · 간행자 · 간행연월 등 간행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부분을 가리키는 출판용어.
내용

목판본이나 금속활자본 등의 전통 인쇄 방식에서 간행기록은 책의 말미에 기록되는 경우가 많지만, 간혹 그림 또는 어떤 형으로 쓰여진 것도 있는데, 이를 목기(木記)·서패(書牌) 또는 묵위(墨圍)라고 한다. 이 중 목기는 다시 도기(圖記)와 패기(牌記)로 구분하기도 한다. 도기는 종(鐘)·정(鼎)·작(爵)·격(鬲) 등의 모양이 있고, 패기는 장방형이 많으며, 또한 아형(亞形)이나 타원형도 있고 변광(邊匡)이 없는 것도 있다.

이들 목기는 기록이 완전한 것도 있지만 다만 간지만으로 간행연월을 밝힌 것도 있어, 서문·발문·판식(版式)과 활자의 종류 및 문헌기록 등을 참조하여 보충할 필요가 있다. 판권면(版權面)을 따로 두어 간행기록을 표시한 예는 한말 개화기부터 나타나며, 일제강점기의 것은 오늘날과 대동소이하나 조선총독부의 것은 허가번호와 허가일자를 적은 점이 다르다.

간행지는 보통 책이 간행되던 당시의 지명으로 나타나 있고 간행자는 간행을 주관한 사람이나 단체로 표시되는데, 옛 간본에 있어서는 간행자 다음에 침재(鋟梓)·상재(上梓)·각재(刻梓)·수재(繡梓)·조조(雕造)·개조(開雕)·개판(開板)·누판(鏤板)·침판(鋟板)·각판(刻板)·개간(開刊)·조간(彫刊)·중간(重刊)·신간(新刊)·재행(梓行)·인행(印行)·활인(活印) 등 간행을 나타내는 용어가 다양하게 구사되고 있다.

간행년의 표시도 그 연대 표시가 연호에 의한 것, 즉위기년에 의한 것, 간지기년에 의한 것, 간지의 고갑자에 의한 것, 간지와 특수기년에 의한 것, 갑자기년(甲子紀年)에 의한 것, 건국기년(建國紀年)에 의한 것, 둘 이상의 간행년이 있는 것, 서문과 발문에 나타나는 것 등 다양하기 때문에 간행년을 고증하는 데 유의해야 한다.

참고문헌

『고서분류목록법』 下(천혜봉, 한국도서관협회, 1970)
『한국서지학개설』(윤병태, 이구출판사, 1983)
『圖書板本學要略』(屈萬理·昌彼得, 華岡出版有限公司, 1978)
『古書板本學』(洪北江, 洪氏出版社, 1982)
『日本書誌學槪說』(川瀨一馬, 講談社, 1972)
집필자
강순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