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와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장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장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5년 최장환의 친족 최국환(崔國煥)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다. 권말에 최국환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7권 4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05수, 권2·3에 서(書) 109편, 권4에 잡저 39편, 권5에 서(序) 11편, 권6에 기 23편, 발 3편, 제문 21편, 묘갈명 5편, 행장 5편, 전 1편, 권7에 부록으로 가장·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실려 있다.

장편시 「상춘(賞春)」은 삼라만상이 무한히 펼쳐진 풍요로운 대자연을 보고 창조주의 오묘한 섭리를 잘 묘사하고 있다. 「노장행(老將行)」·「채련곡(採蓮曲)」·「임고대(臨高臺)」 등에서는 자연에 인간의 그리움을 조화시켜 세속의 번거로움을 잊고, 무한한 감명과 희열에 젖는 고매한 기풍을 엿볼 수 있다. 스승 임헌회와 동문들과의 왕복서찰에는 역학으로부터 천문·지리·수학·풍토 등 광범위한 내용이 들어 있다.

잡저인 「어초문답(漁樵問答)」에는 명리와 사욕을 떠나 인간의 본성을 지키며 조용히 일생을 살아간다는 어부와 초부의 대화를 통하여, 인간의 진실성과 고귀함을 찾아 자연과 더불어 순수하고 소박한 생애를 살아갈 것을 다짐하고 있다.

「독역설(讀易說)」·「고괘설(考卦說)」은 『주역』을 연구하여 괘효에 대하여 터득한 내용을 밝힌 것이다. 최장한은 이 저서들에서 주역이라는 말은 단순하지만,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는 지극히 광대하여 천지만물이 포함되었으며, 만물의 생장(生長)과 수장(收藏)이 그 이치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주역』을 하나의 점서로 보는 사람의 잘못을 지적하였다.

「천지일월성신(天地日月星辰)」·「오위성(五緯星)」·「이십팔수성(二十八宿星)」·「태미원상원(太微垣上元)」·「자미원중원(紫微垣中元)」 등은 천문에 대한 내용으로 천지와 일월성신이 존재하는 이유와 순회하는 이치 등을 설명하고 있다. 최장한은 위성(緯星)과 경성(經星)이 씨와 날이 되어 우주를 지탱하게 하는 것이라 주장하면서, 이 모든 현상이 위치를 바꾸거나 상도를 벗어나면 인간 세상에는 무서운 환란이 닥친다고 하였다.

그밖에도 학문을 하는 이유를 설명한 「위학론(爲學論)」과 수학에 대한 견해를 밝힌 「수학론(數學論)」이 있고, 지리설을 믿지 말라고 자손들에게 지시한 「물신감여설계(勿信堪輿說戒)」와 상소하는 방법을 기록한 「상소규식(上疏規式)」 등이 있다.

집필자
이순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