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집 ()

목차
관련 정보
강재유고
강재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덕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덕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판본. 1916년 아들 효규(孝珪)에 의해 편집, 발간되었다. 권두에 최장환(崔鏘煥)의 서문과 권말에 최병식(崔秉軾)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99수, 권2에 서(書) 26편, 권3에 잡저 10편, 권4에 기 8편, 서(序) 5편, 발 6편, 명 5편, 제문 6편, 행록 2편, 권5·6은 부록으로 행장·유사·묘갈명·묘표·한산초자전(韓山樵子傳)·만장(挽章)·제문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서는 최익현이 대마도에 수감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오언장편시를 써서 나라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음을 탄식하고 있다.

「횡당강록(黌堂講錄)」은 스승인 정재규(鄭載圭)와 서당에서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대학』의 3강령과 8조목, 『중용』의 계구(戒懼)와 신독(愼獨), 비은(費隱)과 체용(體用)에 대해 질의문답한 것이다. 「우기(偶記)」는 자기의 학문에 대한 집념과 소신을 밝힌 것으로, 사람은 천성이 같기 때문에 누구든지 성인을 배우고자 노력하면 성인의 문에 들어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는 것이 자기성취의 길임을 역설하였다.

「학당절목(學堂節目)」은 서당에서 지켜야 할 규정으로, 입지(立志)·위인(爲仁)·독서·좌차(座次)·언어·행보·출입 등 11조에 달한다. 이밖에도 인간의 지극한 이치가 오히려 어부와 초부에 있음을 보이기 위하여 인용한 「어초문답(漁樵問答)」과 최익현의 성리·심성·인물성동이·정치에 대한 어휘를 수집한 「면암어록(勉庵語錄)」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