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왕도 ()

목차
회화
작품
조선 말기(19세기 후반)의 불화.
목차
정의
조선 말기(19세기 후반)의 불화.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60㎝, 가로 187㎝. 삼성출판박물관 소장. 감로탱은 수륙재(水陸齋)·우란분재(盂蘭盆齋)·사십구재(四十九齋) 등 영혼천도재에 사용되는 하단(下壇) 탱화이다. 화면 구성은 주로 상·중·하단으로 이루어졌다. 하단에는 육도 중생상이, 중단에는 재 의식 장면 그리고 상단에는 감로를 매개로 이들을 천도하는 불·보살의 세계로 구성되었다.

바탕 경전은 ≪부모은중경≫·≪우란분경≫·≪목련경≫·≪지장보살본원경≫·≪묘법연화경≫ 및 ≪밀교경전≫이 복합적으로 관계되었다. 정토내영도와 육도회(六道繪)의 성격을 띤다. 특히 하단에는 고혼의 생전 모습이 현실의 생활상을 빌어 표현된 점이 큰 특징이다. 이는 시대적 변화가 잘 나타나 풍속화적인 가치가 높다.

19세기 후반경의 감로탱은 의식 장면이 확대되고 하단의 중생상이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중생상의 표현은 당시의 서민 풍속을 잘 반영하고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유의 감로탱은 19세기 말 20세기 전반에 걸쳐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하였다. 1868년(고종 5) 수락산(水落山)흥국사(興國寺) 감로탱이 가장 이른 예이다.

이 감로탱도 그와 같은 유형의 작품이다. 화면 상단은 개성 없는 정면관(正面觀 : 앞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평면화된 7불과 아미타삼존·지장보살·인로왕보살(引路王菩薩) 등이 도식화되어 표현되었다. 그리고 중단은 재 의식(齋儀式) 장면이 확대되어 묘사되고 있다. 하단부에는 대장간·어물장수·엿장수·포목 거래·주막 풍경·낫 갈이·풍악·줄타기와 짚신 파는 장면 등 당시의 풍속을 빌어 표현한 새로운 소재인 시장 풍경과 무속 등이 주목된다.

그중 대장간 풍경은 18세기 후반을 풍미했던 김홍도(金弘道)·김득신(金得臣)류의 풍속화와 유사하다. 실제 장시(場市)를 보는 듯한 이 장면은 감로탱이 얼마나 민감하게 당시의 풍정을 반영하고 있나를 말해 준다. 감로탱에서 그려진 풍속 장면은 폭넓은 풍속화적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화의 연구』(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81)
『감로정』(강우방·김승희, 도서출판 예경, 199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