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암사 감로왕도 ( )

목차
회화
작품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54㎝, 가로 194㎝. 하단에는 고혼(孤魂)의 생전 모습으로 주로 환난을 입는 장면, 중단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를 그린 의식 장면이 있다.

그리고 상단은 감로(甘露)라는 상징적 매개물을 통하여 고혼이 된 인간이 악업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 주는 불·보살의 세계로 구성되어 있다.

18세기 이후의 감로탱은 하단의 육도상(六道相)이 더욱 세분화되어 전 시대에 없었던 여러 가지 장면이 추가되고 더욱 사실적인 묘사가 이루어진다. 이 작품은 그러한 전형을 보여 주는 수작이다. 화기(畫記)가 없으나 18세기 중엽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단에는 6불과 아미타삼존·지장보살·인로왕보살이 있다. 그리고 청혼(請魂)을 태울 벽련대좌를 받쳐든 천인(天人)·주악천인(奏樂天人)의 무리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중앙에는 재단(齋壇)이 생략된 채 화염 속에 싸인 두 아귀가 고통이 극에 달한 표정으로 불·보살의 자비가 올 때까지 빈 발우(鉢盂 : 절에서 쓰는 중의 공양 그릇, 바리때)를 입으로 깨물면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

향우(向右)에는 상단의 아미타불이 보낸 듯 합장을 한 존자가 다가오고 있다. 배경은 수묵 기법으로 그린 산야의 모습인데, 자연스럽게 공간을 분할하고 있다. 인물의 채색은 주로 붉은색과 녹색을 사용하여 선명히 두드러진다.

중앙의 아귀를 에워싸고 역대 제왕과 후비·고관·도사·승니(僧尼)·일반 서민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들이 주변에 있다. 그리고 하단의 제상(諸相)과 함께 지옥도가 조화롭게 결합되어 있다. 하단에 표현된 인간 제상은 태어나다 죽기도 하고 형벌을 받거나 전쟁을 하다가 죽기도 하였던 망자(亡者)의 임종 모습들이 묘사되었다. 이 그림은 그러한 죽음을 당했던 망자의 영혼 천도를 위해 기능을 하는 것이다.

18세기 감로탱에서 의겸(義謙)의 감로탱과 함께 이 작품과 같은 양식은 또 하나의 유행을 이루었다. 그리고 양식적으로 여수 흥국사감로탱(興國寺甘露幀, 1741년 작), 양산 통도사감로탱(通度寺甘露幀, 1786년 작), 영천 은해사감로탱(銀海寺甘露幀, 1792년 작) 등과 유사하여 화사(畫師)간의 관계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한국불화의 연구』(홍윤식,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81)
『감로정(甘露幀)』(강우방·금승희, 도서출판 예경,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