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 한왕묘 ( )

목차
관련 정보
평안남도 강동 한왕묘 배면
평안남도 강동 한왕묘 배면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평성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1대인 동천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능.
이칭
이칭
황제묘(皇帝墓)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평성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1대인 동천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능.
내용

대동강 서북안의 작은 구릉지대에 있으며, 주위에도 약 15, 16기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강동한왕묘로 불리게 된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며, ‘황제묘’라고도 불린다.

방형(方形)의 2층 기단 위에 봉토하여 원분(圓墳)을 만들었으며, 널방[玄室]이 남쪽으로 면하게 되어 있다. 봉토의 지름이 약 54m, 높이 10.8m로 평양 부근 고분 중 최대 규모이다. 봉토의 표면에서 약 30㎝ 깊이에 각종 기와조각을 깔아 빗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였다.

널방은 평면이 방형이며 네 벽은 큰 판석(板石)을 이용해서 축조하였다. 천장은 네 벽선과 평행하게 2단의 역(逆)계단형 받침돌을 내밀어 천장면적을 줄인 다음 네 귀에 삼각형의 받침돌을 걸친 뒤 그 위에 1매의 판석을 덮어 만든 모줄임식[抹角藻井]으로 처리하였다.

널방의 남쪽으로는 앞방[前室]이 없이 바로 긴 널길[羨道]과 연결되어 평면 T자형인 외방무덤[單室]형식을 이루고 있다. 널길은 안쪽·중간·바깥쪽의 3개소에 돌문[石扉]과 돌을 세워 막았다. 널길의 벽천장에는 칠이 두껍게 발라져 있다.

널방 내부에는 좌우로 두 개의 돌상[石床]을 나란히 놓았고, 그 위에 나무널을 올려놓았는데 붕괴되어 있었다. 널의 내부에는 주칠(朱漆), 외부에는 흑칠(黑漆)을 발랐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고분은 이미 도굴당해 부장품이 남아 있지 않았지만 봉토 중에서 발견된 도제(陶製)의 광구호(廣口壺) 1점과 수막새기와·암키와·수키와조각 몇 점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강동군의 읍지인『오주지(吳州志)』에는 이 고분이 고구려동천왕의 능으로 되어 있으나, 정제된 묘실의 결구(結構)상태나 기와조각 등으로 보아 5, 6세기경의 고구려 중기 묘제로 믿어진다.

참고문헌

『朝鮮の建築と藝術』(關野貞, 岩波書店, 1941)
『朝鮮古蹟圖譜』2(朝鮮總督府, 1915)
『朝鮮古蹟圖譜解說』2(朝鮮總督府, 191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