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에서는 ‘진또배기서낭’ 또는 ‘진떼배기서낭’이라고 하며, 소나무로 만든 장대를 신체(神體)로 삼고 있다.
‘진또배기’란 ‘짐대박이’의 방언으로 신간(神竿)인 솟대를 지칭하는 ‘짐대(지ᇝ대)’에 사람이나 짐승 또는 물건에 무엇이 박혀 있는 뜻을 가리키는 접미어 ‘박이’가 첨가되고, 이것이 ‘ㅣ모음동화’를 일으켜 ‘짐대백이’가 된 것이다.
짐대의 높이는 약 5m 정도이고 맨 꼭대기에는 세 갈래진 나뭇가지를 가로로 얹고, 갈래마다 정교하게 만든 나무오리를 올려놓았다. 이 짐대의 유래는 어느 날 대관령(일설에는 함경도 해안)에서 떠내려온 짐대가 강문 해안에 닿자, 마을사람들이 이를 건져 세우고 제사를 올렸더니 동네가 번성하여 계속 모시게 되었다 한다.
강문 근처의 안목(安木)에도 이와 같은 진또배기가 있는데, 오리의 앉아 있는 방향이 두 마을 똑같이 서북쪽 대관령(또는 서울)을 향하고 있다고 한다. 이 짐대는 마을의 삼재(三災), 곧 수재 · 풍재 · 화재를 막아주는 구실을 하며, 이것을 잘 모시지 않으면 벼농사가 안 된다고 한다.
진또배기서낭에 대한 의례는 동제인 서낭제와 풍어제 때 행해진다. 강문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15일에 춘계예축제(春季豫祝祭), 4월 15일에 풍어제, 8월 15일에는 추수제를 동제로 지내고, 3년에 한번씩 음력 4월 15일에 규모가 큰 용왕굿(별신굿)을 벌인다.
이 때 마을 서낭당인 골매기서낭당과 여서낭당인 죽도서낭당(또는 해당), 그리고 진또배기서낭에 각각 제사를 지낸다. 이 세 곳의 위치는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마을 서쪽으로 100m쯤에 골매기서낭당이 있고, 여기서 100m 정도 되는 죽도 바로 밑에 여서낭당이 있다. 그리고 두 서낭당 중간에 남쪽으로 진또배기가 있는데, 골매기서낭당과의 거리는 40∼50m이다.
제사는 밤 12시경에 지내는데, 메 · 시루떡 · 나물 · 주과포(酒果脯) · 어물 등의 제물을 차려놓고 분향 배례하며, 고축(告祝)은 없다. 굿을 할 때는 진또배기를 먼저 돌고 나서 시작하며, 짐대는 3년마다 별신굿을 할 때 바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