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초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구연해의 강초유고 중 권수면
구연해의 강초유고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구연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구연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924년 그의 후손인 창서(菖書)·달서(達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서찬규(徐贊奎)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서석종(徐錫宗)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26수, 권2에 서(書) 9편, 잡저 9편, 서(序) 1편, 발 2편, 상량문 1편, 축문 2편, 제문 3편, 부록으로 행장과 강초차운(江樵次韻)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불국사」·「고견사증보련상인(古見寺贈寶蓮上人)」·「해인사」 등 불교적인 내용의 시, 「탄금대(彈琴臺)」·「강촌(江村)」 등 산수를 읊은 것, 「우산목적(牛山牧笛)」·「능소유어(菱沼遊魚)」의 서정적인 것 등 다양한 내용을 소재로 하고 있다.

잡저 가운데 「설역(說易)」은 『주역』 둔괘(屯卦)를 효사(爻辭)와 상전(象傳)의 해설과 함께 주로 가족적인 인륜관계를 중심으로 풀이한 내용이다. 「계자손소지(戒子孫小識)」는 자신이 전일 기서(奇書)에 탐닉하여 실성망행(失性妄行)하였던 과오를 뉘우치며, 자손들에게 잡술에 빠지지 말라고 가르치는 내용의 가훈서이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