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곡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이이송의 개곡유집 중 권수면
이이송의 개곡유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이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이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1780년(정조 4) 전후 그의 현손인 춘보(春溥)·택중(澤仲) 등이 유고를 모아 편집한 것을 1811년(순조 11) 후손인 종해(宗楷)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靖)의 서문과 권말에 김굉(金㙆)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최근에 영인, 간행된 『서간세고(西澗世稿)』에도 수록되어 있다.

권1·2는 시 287수, 권3은 부(賦) 2편, 소 2편, 서(書) 6편, 잡저 2편, 서(序) 2편, 기 1편, 발 2편, 명 1편, 찬(贊) 2편, 표 1편, 전(箋) 2편, 상량문 1편, 제문 12편, 권4는 묘갈명 4편, 묘지명 2편, 권5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만사 19수, 제문 4편, 낙고초당창수시집서(洛皐草堂唱酬詩集序)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 가운데 「화좌태충초은(和左太冲招隱)」·「화곽경순유선(和郭景純遊仙)」·「소상팔경(瀟湘八景)」 등은 세상을 한탄하며 영욕의 허무함과 은둔의 뜻을 나타낸 것으로, 그의 시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도중영간송(道中詠澗松)」과 「지족음(知足吟)」도 때를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고 회한의 정을 담은 내용으로, 이런 시들은 당시의 시대상과 당쟁으로 소외되었던 그의 심사를 반영하고 있다.

부의 「감이모(感二毛)」·「차귀거래사(次歸去來辭)」도 역시 조정에서 포부를 펴지 못한 아쉬운 심정과 은둔생활로 돌아가겠다는 결심을 읊은 것이다.

소의 「청물허이신문묘종사소(請勿許二臣文廟從祀疏)」는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반대한 내용으로 주목된다. 이이에 대해서는 한때 불문(佛門)에 들어간 일을 들어 반대론을 펴고 있다.

잡저의 「용량설(容量說)」에서는 성인과 군자, 대인과 소인 등을 설명하고 있어 인물론에 대한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