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신

목차
관련 정보
태사신
태사신
의생활
물품
가죽으로 만든 신의 총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가죽으로 만든 신의 총칭.
내용

문헌에 나타난 우리 나라 최초의 갖신은 부여의 혁답(革鞜)이다. 혁답은 신목이 짧은 신으로 중국의 갖신인 이(履)의 형태를 취한 것이다. 일찍이 이규경(李圭景)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황제의 신하 어측(於則)이 처음으로 비리(扉履)를 만들었는데, 초(草)로 만든 것을 비(扉), 피(皮)로 만든 것을 이라 하였다.”고 하여 가죽으로 만든 이를 갖신의 기원으로 설명한 바가 있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이와 함께 북방계 수렵민족들의 기마화(騎馬靴)가 전래되어 함께 착용되었다. 화(靴)는 이와 달리 신목이 길어 방한(防寒)·방침(防浸)에 적당한 갖신이었다.

삼국시대의 계급별 갖신의 착용 상황을 보면, 고구려는 문헌상에는 상류층에서 황혁리(黃革履)를 신었다고 되어 있다. 고분벽화에는 흑색리(黑色履)·백리(白履) 등도 착용되고 있어 직분에 따라 이의 색을 달리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편, 화는 상류층에서 주로 사냥할 때 착용하였으며, 백색화는 천민층에서 착용하였다. 백제는 고구려와 달리 이가 주로 착용되었는데, ≪당서 唐書≫에 “왕은 오혁리(烏革履)을 신는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나머지 계층은 다른 색을 착용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는 화와 이가 함께 착용되었는데, 고구려와 달리 여자는 이만 착용하였다. 화의 경우는 자색과 검은 색이 있었는데, 자색은 상류층에서 검은 색은 천민층에서 각각 착용하였다.

한편, 화는 신라 초기에 ‘선〔siən〕’이라 불리었는데, 이는 현재의 ‘신’과 유사한 음으로 특기할만한 사실이다. 화와 이로 대표되던 삼국시대의 갖신은, 고려에 와서 이의 일종인 석(舃)을 왕과 왕비가 착용한 반면, 화와 이는 백관공복이나 일상용으로 착용되었다. 그러나 서민들에게는 갖신의 착용이 금지되어 있었다. 조선시대로 오면 유교적인 정치 배경, 복식 사치 등으로 인하여 갖신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진다.

그 중 가장 보편화되었던 것은 화와 이의 형태를 띤 혜(鞋)였다. 먼저 당시에 사용되었던 화의 종류를 보면, 흑피화(黑皮靴)·목화(木靴)·협금화(挾金靴)·수화자(水靴子)·기자화(起子靴)·전피화(氈皮靴)·단화(短靴)·동화(童靴) 등이 있었다. 또한, 혜의 종류로는 흑피혜(黑皮鞋)·분투혜(分套鞋)·투혜(套鞋)·피초혜(皮草鞋)·태사혜(太史鞋)·당혜(唐鞋)·운혜(雲鞋)·발막신·진신[油鞋]등이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조선시대의 갖신은 관복에 흑피화와 흑피혜가 사용되는 등 상류계층의 전유물처럼 그 사용범위가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갖신을 파는 이전(履廛)·화전(靴廛)·종루전(鐘樓廛)과 소가죽신의 창을 파는 이저전(履低廛) 등을 통해 갖신이 일반에게까지 널리 유통되어 계층별 갖신 사용법은 지켜지지 않았다.

게다가 일반인의 갖신 수요를 충족시키다 보니 가죽의 품귀현상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국가에서는 일반인의 갖신 착용과 도살(屠殺)을 금한다는 내용의 교지를 반복해서 내렸으나, 일반인의 갖신 착용은 계속 확대되었다.

그리고 갖신을 오래 신기 위해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온 여러 가지 갖신보존방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즉, 갖신에 좀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아궁이의 위쪽 벽에 매달아 연기를 쏘이는가 하면, 가죽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돼지기름을 발랐던 것이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三國志』
『구당서(舊唐書)』
『오주연문장전산고』
「조선후기복식의 풍속사적연구」(조효순, 세종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