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심사향완 ()

목차
관련 정보
개심사명 청동은입사 향완
개심사명 청동은입사 향완
공예
유물
국가유산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완(香垸).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개심사명청동은입사향완(開心寺銘靑銅銀入絲香완)
분류
유물/불교공예/공양구/공양구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3년 10월 30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근역성보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수덕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완(香垸).
내용

고려시대에는 고배형 향로 몸체에 은으로 무늬를 입사(入絲)한 향로가 다수 제작되었는데, 이런 형태의 향로를 향완(香垸)이라 불리었다. 향완은 향을 사르는데 사용되는 불교 공양구이다. 높이 24㎝로 전이 넓은 완형(垸形)의 노신(爐身: 향로의 몸체)과 나팔형 받침이 별도로 주조되어 연결한 고배형 향완이다. 현재 수덕사 근역성보관에 보관되고 있다.

개심사향완처럼 청동 고배형 향완에 은입사기법이 시문된 가장 빠른 예는 현재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대정사년명백월암향완(大定四年銘白月庵香垸, 1164년)이다. 금속입사기법은 고려시대에 새롭게 나타나는 공예수법으로서 금속공예의 발달과 함께 세련미를 더하게 되는데 은입사향완과 더불어 은입사정병, 합, 반 등이 대표적 예들이다.

개심사향완은 전의 윗면에는 유운문(流雲文)이 8개소에 은입사(銀入絲)되고 노신 외면에는 대칭되는 위치 네 곳에 원권(圓圈)을 돌리고 그 안에 굵게 ‘卍’자가 입사되었다. 남은 공간에는 가는 선으로 모란문(牡丹文)이 입사되었다. 받침 상단에는 작은 앙련(仰蓮)과 큰 복련(覆蓮)이 연접되어 있으며, 그 밑으로 모란문 3개와 굽에는 구름문 8개가 입사되었다.

특징

전의 안쪽면에 ‘開心寺香琓化主玄文(개심사향완화주현문)’이라는 명문이 있어 향완 주조 사찰인 ‘開心寺(개심사)’와 ‘玄文(현문)’이라는 시주자명을 알 수 있으나 제작연대는 명시되지 않았다. 다만 작품의 양식으로 보아 이 향로는 형태, 구조, 새김 등에서 1962년 국보로 지정된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1177년), 건봉사향완(1216년) 등의 향완과 같은 양식계열에 속하나 은입사의 기법이나 문양으로 보아서 제작연대는 고려말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청동은입사향완의 연구: 고려시대 고배형을 중심으로」(김창균, 『불교미술』9, 동국대학교박물관, 1988)
「고려청동은입사향완의 연구」(황수영, 『불교학보』1,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1963)
「서산개심사의 청동은입사향완」(이은창, 『고고미술』8, 1961)
문화재청(http://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진홍섭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