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무영청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 백정 집안에서 자손의 안녕과 가업의 융성을 빌기 위해 조상에게 행하는 무속의례.
이칭
이칭
피쟁이굿, 칼감제굿, 칼춤굿, 검무영송(劍舞迎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제주도 백정 집안에서 자손의 안녕과 가업의 융성을 빌기 위해 조상에게 행하는 무속의례.
개설

‘칼감제굿’ 또는 ‘칼춤굿’이라고도 부르고, 한자로는 검무영송(劍舞迎送)이라고 표기한다.

육지의 집안재수굿과 같은 계통의 굿이지만 가계로 내려온 백정이라는 특수직업의식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내용

이 굿에서 무당은 백정으로 분장하여 죽어서도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짐승의 중요성을 연극적으로 표현한 뒤 직접 소나 돼지 한 마리를 잡는다. 각을 뜨고 내장을 꺼내 축원을 하며 제상에 올리어서 집안조상에게 바치는 것이다.

이 굿의 특징은 칼춤에 있는데, 그것은 ‘거무영청하군졸’ 제차(祭次)에서 잘 드러난다. 무당은 마당 밖에 잡은 소나 돼지를 벌여놓은 뒤 고기와 떡을 칼끝에 꿰어 양손에 들고 격렬하게 춤을 춘다.

또는 소나 돼지 대신 사람을 내세워 몸체의 부분마다 칼로 그으며 잡는 흉내를 내고 춤을 추기도 한다. 한동안 춤추다가 칼을 던져 길흉을 점치는데 칼끝이 밖으로 향하면 조상이 만족하여 소원을 들어준다는 징표로 받아들인다.

만약 칼점의 결과가 불길하면 집안의 모든 가구를 마당 밖으로 내놓으면서 빌고 무당은 계속 칼춤을 추며 좋은 점이 나올 때까지 계속한다.

의의와 평가

이 굿은 특수직업인의 가계에서 조상을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로, 사회적인 천시 속에서 가업을 지키고 동질성을 유지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남국(南國)의 무속(巫俗)』(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1966)
『남국(南國)의 무가(巫歌)』(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196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