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모궁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경모궁지 정면
서울 경모궁지 정면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장헌세자와 세자비 헌경왕후의 사당.
이칭
이칭
경모전(景慕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장헌세자와 세자비 헌경왕후의 사당.
역사적 변천

경모전(景慕殿)이라고도 한다. 본래 1764년(영조 40) 봄에 서울 북부 순화방(順化坊 : 현재 종로구 창성동)에 처음 세웠던 것을 그 해 여름에 동부 숭교방(崇敎坊 : 현재 종로구 연건동서울대학교병원내)에 옮겨 수은묘(垂恩廟)라 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 도감(都監)을 설치하고 개축하기로 결정하고, 그 해 4월에 공역을 시작하여 8월에 완공, 경모궁이라 하고 정조가 현판글씨를 썼다. 그 해 9월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 서호수(徐浩修)의 요청에 의해 경모궁 악기도감(樂器都監)을 설치하고 김한기(金漢耆)·정상순(鄭尙淳)을 악기도감제조로 삼아 다음해 경모궁 악기를 완성하였다.

1780년 궁의 외장(外墻)을 쌓았고, 1784년 궁의 이름을 경모원(景慕園)으로 고쳤다가 1794년 다시 경모궁으로 확정하였다. 1817년(순조 17) 궁을 대대적으로 수리하였으며 이에 공헌한 도제조 이하 관원에게 시상하였고 감동당상(監董堂上) 박종경(朴宗慶)을 보국(輔國)으로, 조덕윤(趙德潤)·이희갑(李羲甲)을 정헌(正憲)으로 승진시켰다.

관원으로는 도제조·제조 각 1인과, 영(令, 종5품) 3인을 두되 1인은 문관으로 뽑도록 하였고, 뒤에 2인을 증원하여 음관(蔭官)으로 보직하였으며, 그외 직장(直長, 종7품)과 봉사(奉事, 종8품) 1인 등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다.

1839년(헌종 5) 화재로 소진되자 그때 입직관(入直官) 박효문(朴孝聞), 수문장(守門將) 이인구(李麟九)는 체포되어 처형되고 제조 김이재(金履載)는 불칙죄(不飭罪)로 파직되었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대전회통(大典會通)』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