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해정사록 ()

목차
관련 정보
계해정사록
계해정사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인조반정의 전말과 그 후 관료의 교체상황 등을 일기체로 기록한 역사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인조반정의 전말과 그 후 관료의 교체상황 등을 일기체로 기록한 역사서.
내용

1책. 필사본. 저자 미상. 기록된 내용 중에 조선왕조실록에 없는 것도 있어서, 당시의 사관이나 왕명을 출납하는 승정원의 관리가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을 보면 먼저 인조반정이 시작되는 1623년 3월 12일부터 이 사건을 매듭짓는 같은해 9월 2일까지 진행되는 과정을 일기체로 기록하고 있다.

이어서 인조반정 후 책록된 정사공신(靖社功臣)을 3등급으로 나누어서 그들의 최고관직 및 삭훈(削勳)에 관한 상황을 부기하고 있다.

또한, 인조반정 후 관료의 교체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광해군 때 죄를 지은 자들을 12등급으로 구분하여 죄의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광해군 때의 정치와 인조반정의 전말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이 책은 『대동야승』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장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